logo
“AI 경쟁력 확보 위해 맞손 검토”…메타, 구글·오픈AI 협력 논의에 업계 촉각
국제

“AI 경쟁력 확보 위해 맞손 검토”…메타, 구글·오픈AI 협력 논의에 업계 촉각

조보라 기자
입력

현지시각 1일 미국(USA)의 IT 업계에서 메타플랫폼(메타)이 인공지능(AI) 기능 강화를 위해 구글(Google)·오픈AI(OpenAI)와의 협력 방안을 적극적으로 논의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번 논의는 치열해진 글로벌 AI 경쟁 환경에서 메타의 자체 기술 한계 인식과 차세대 AI 경쟁력 확보 필요성에 직면한 데 따른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디인포메이션 등 주요 외신은 메타가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 및 오픈AI의 ‘챗GPT’를 메타AI,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 자체 소셜미디어 서비스에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1일 보도했다. 논의는 최근 신설된 ‘메타 초지능 연구소’ 주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해당 조직은 스케일 AI 출신 알렉산더 왕과 전 깃허브 CEO 냇 프리드먼이 이끌고 있다.

‘메타’, 구글·오픈AI AI 모델 활용 논의…AI 기능 강화 모색
‘메타’, 구글·오픈AI AI 모델 활용 논의…AI 기능 강화 모색

메타는 독자 개발 AI 모델 경쟁력 강화에 집중해왔으나, 4월 공개된 최신 모델 ‘라마4’가 기대치에 못 미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업계에선 구글·오픈AI 등 선두 기업들과의 기술 격차가 쉽게 좁혀지지 않는 상황에서, 메타가 외부 우수 AI 모델을 임시로 도입해 제품 완성도를 끌어올리려는 전략을 택한 것으로 본다.

 

실제로 메타는 내부 코딩 어시스턴트 등 사내 도구에 이미 앤스로픽 등의 외부 AI 모델을 통합해 개발자 편의성을 증진시킨 사례가 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적극적 대외 협력+인재 영입’ 행보가 단기적으로는 AI 상품의 경쟁력을 보강하고, 중장기적으론 자체 모델 ‘라마5’ 완성도 제고에 집중하는 포석으로 평가된다.

 

메타는 “최고의 AI 제품 출시를 위해 자체 모델 개발, 외부 업체와의 협업, 오픈소스 전략까지 배제하지 않는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최근 오픈AI·구글 등에서 AI 인재 수십 명을 채용했으며, 이에 1인당 수억 달러 상당의 조건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져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뉴욕타임스 등 해외 주요 매체는 “메타가 선두 AI기업들과의 협력과 인재 영입에 박차를 가하며 시장 판도 변화를 예고했다”고 평가했다. 경쟁사들도 자사 기술력 방어 및 인재 이탈 방지에 더욱 집중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메타가 당분간 외부 모델과의 융합으로 기능 완성도를 높이면서 라마5 등 차세대 자체 AI 경쟁력 확보에 주력할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빅테크 해계모니 싸움에서 이번 전략 변화가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국제사회는 메타의 협력 행보와 자체 AI 모델 수준 향상이 향후 AI 시장 질서에 어떠한 영향을 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메타#오픈ai#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