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불패 신화 깨졌다”…강선우, 현역 첫 장관 청문회 낙마
현직 의원의 장관 후보자 ‘불패 신화’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균열을 맞았다. 보좌진 갑질과 거짓 해명 논란에 여론이 급격히 악화되며 여야와 각계의 사퇴 요구가 거세진 끝에 강 후보자는 23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이 국회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하며 임명 절차에 돌입한 상황에서 강 후보자가 현역 의원 최초로 청문회 문턱을 넘지 못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강선우 후보자는 재선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다. 그는 초선 시절부터 대변인을 맡으며 인지도를 쌓아왔고, 20대 대선과 6·3 재보궐선거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지원하는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로 인해 청문회 무난 통과가 예상됐으나, 보좌진 갑질 의혹이 제기된 데 이어 청문회 과정에서 거짓 해명 논란까지 불거지며 일파만파로 번졌다.

정치권에는 그간 현역 의원이 장관 후보자로 지명될 경우, 이미 선거와 의정활동을 통해 검증을 거쳤다는 인식 속에서 청문회 통과가 상대적으로 수월하다는 시각이 우세했다. 실제로 이재명 정부는 19개 부처 장관 후보자 중 절반에 가까운 8명을 민주당 현역 의원으로 내세웠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출범한 현 정부가 원활한 국정 운영과 정책 추진을 위해 당 소속 의원들을 대거 중용한 결과다.
그러나 강 후보자는 지명 직후 불거진 갑질 의혹이 국민적 정서와 정면으로 충돌했다. 특히 여가부 장관으로서 사회적 약자 보호 역할에 대한 자질 논란이 퍼지며 참여연대와 민주노총 등 진보 성향 단체를 포함한 여권 우군까지 사퇴 요구에 가세했다. 거짓 해명 논란이 더해지며 여론의 등돌림도 가팔라졌다.
이런 가운데 최근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 동반 하락까지 맞물리며, 청문회 정국에서의 강선우 후보자 논란은 정국 전체에 파장을 남겼다. 강 후보자가 스스로 물러나는 형식을 취했지만, 여권 내부와 야당, 시민사회로부터 동시 압박을 받은 데다 의원 출신 신화까지 깨진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박상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민주당은 강선우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한다”고 평했다. 강선우 후보자 사퇴 이후 여가부 장관 인선과 함께 청문 절차에 대한 제도적 재검토 목소리도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은 여야를 막론하고 강선우 후보자 낙마 사태의 여진과 인사검증 방식, 현역 의원 장관 기용 관행까지 전방위 논의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