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 1,000원 열풍”…정부, 가공식품값 억제·추경 조기 집행
최근 생활물가가 꾸준히 오르는 가운데, 대구의 1,000원 짜장면이 사회적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7월 1일 개업한 대구 반월당역 인근 한 중식당이 짜장면을 파격적인 1,000원에 제공하면서, 시민과 온라인을 중심으로 ‘가성비 열풍’이 확산되고 있다. 정부와 여당도 가공식품값 인상 억제와 추경 예산 조기 집행 등 민생 물가 부담 완화에 집중하며 소비 심리의 향방이 주목된다.
이번 1,000원 짜장면은 SNS와 유튜브를 통해 빠르게 알려지면서 현장에는 개점 이후 북새통을 이루는 손님이 몰렸다. 식당의 운영자가 “큰 욕심 없이 오래 운영하고 싶다”고 밝힌 가운데, 온라인에서는 “사장님 대단하다”, “진정한 봉사”라는 응원이 이어졌다. 동시에 “상권 피해 우려”, “지속 가능성 문제” 등 자영업계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외식·생필품 가격이 잇따라 오르며, 소비자들이 저렴한 선택지를 갈망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정부도 생활물가 안정에 적극적으로 대응 중이다. 7월 6일 고위 당정협의회에서 정부와 여당은 가공식품 가격 인상 억제, 추경 예산의 85%를 9월까지 집행, 장마·폭염 대비책 강화 등을 민생 핵심 과제로 선정했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소비자 부담 경감이 최우선”이라며 업계와의 협력 의지를 밝혔다. 폭염, 홍수 등 자연재해 대응을 강화하고 무더위 쉼터, 그늘막 설치도 현실 대책으로 내세웠다.
업계에서는 가격 파괴 경쟁이 인접 상권과 중소자영업자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와, 시장 내 건전한 경쟁·상생방식에 대한 논의가 공존한다. 전문가들은 “먹거리·생필품값이 지속 오르는 데 맞서 정부 대책뿐만 아니라 업계의 자율적 협력이 동반돼야 물가 안정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진단한다.
물가 문제가 사회적 신뢰와 민심에 직접 영향을 주는 가운데, ‘1000원 짜장면’ 사례와 정책 대응이 맞물려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 상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지속적인 생활밀착형 물가 관리와 실질적 부담 완화 방안에 국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향후 정책 방향은 민생 물가, 공급망 위기, 기후위험 등 복합 요인에 좌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