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이다. 안내하겠다”…합동참모본부, MDL 수풀 숨어있던 북한 민간인 신병 20시간 만에 확보
비무장지대(MDL) 인근 수풀에 은신했던 북한 민간인 1명의 신병을 둘러싸고 군과 합동참모본부가 긴박한 20시간 작전에 나섰다. 정치적 긴장이 높은 가운데, 북측은 군사분계선(MDL) 철책·방벽 강화 작업에 힘을 쏟아왔지만, 이번에는 허술한 구간을 노려 남성이 넘어왔다.
합동참모본부는 4일, “3일 야간 중서부 전선에서 DMZ를 월남한 북한 남성 주민 1명을 식별해 군이 신병을 확보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신병 확보 과정은 3일 새벽 3~4시께 중서부 전선 감시장비에 해당 인원이 포착된 직후부터 시작됐다. 작전은 오후 11시까지 이어졌고, 투입된 군 작전팀은 수심 1미터 내외 얕은 하천에 있던 그를 지속적으로 추적·감시했다.
합참 관계자에 따르면, “작전팀이 최대한 접근했으며, 이 남성이 ‘누구냐’고 묻자 팀장 중사가 ‘우리는 대한민국 국군이다. 안전하게 안내하겠다’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후 군은 그를 데리고 DMZ 지역을 이탈했다. 이 남성은 무장하지 않았으며, 스스로 민간인임을 밝혔다. 귀순 여부는 관계기관에서 향후 조사를 통해 확인될 예정이다.
정치권과 군 안팎에선 합참의 신속한 대응력을 평가하면서도, 북측 철책 강화에도 불구하고 취약 구간 월남이 가능했던 배경에 주목했다. 북한에서는 최근 MDL 일대 전방 경계 강화 움직임이 계속돼온 만큼, 이번 사례는 군 경계 태세 재점검의 과제를 남겼다는 지적도 나왔다.
반면 군은 이번 확보 작전이 수풀과 미확인 지뢰가 많은 지형에서의 인명·상황 안전 확보 우선에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이와 별개로 합참은 유엔군사령부에도 관련 사실을 즉각 공유하였으며, 현재까지 북한군의 특이 동향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지난해 8월 20일 강원도 고성 지역에서 북한군 1명이 MDL을 넘어 귀순한 이후 11개월 만에 발생한 이번 신병 확보 사건은 남북한 간 비무장지대 안보 문제를 재부각시키고 있다.
정부와 군 당국은 해당 인물의 남하 이유와 배경을 조사할 예정이며, 향후 DMZ 경계 강화와 유사 상황 대응 방안 검토에 나설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