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중복게재 의혹 정면 돌파”…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서 연구윤리 검증 공방
논문 중복게재 의혹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싸고 거세지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가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연구윤리 문제에 대한 엄정한 검증 의사를 밝히면서, 이진숙 후보자의 행보에 정치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이진숙 후보자는 2018년 2월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를 한국색채학회논문집에, 같은 해 3월에는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를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에 각각 발표했다. 두 논문은 KCI 유사도 검사 결과 35%의 유사도를 보였으며, 실험 설계와 결론 등 다수 부분이 중복된 것으로 4일 확인됐다. 그러나 인용 표시나 출처 표기가 없었던 점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실은 “논문 유사도 25%를 넘으면 표절 가능성을 검토해야 한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또 후보자가 지도하던 대학원생의 학위 논문을 요약해 본인 명의로 발표했다는 의혹도 새롭게 부각됐다. 김 의원실은 “2000년 이후 이 후보자가 제1저자로 발표한 논문 다수에서 표절 논란이 있는 것으로 파악돼, 10편 이상에서 중복 또는 유사성이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연구윤리 위반 의혹이 확산되자, 교육부 인사청문회준비단은 “후보자가 2007년부터 2019년 사이 발표한 논문 모두 충남대학교 총장 임용 당시 위원회로부터 ‘연구부정행위 없음’ 판정을 받은 바 있다”며 “청문회에서 신속하고 투명하게 소명하겠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야당은 “연구자의 신뢰성과 학문적 진정성이 도마에 올랐다”며 한층 엄격한 검증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여당과 교육부 측은 “공식 절차에 따른 무혐의 확인 사실”을 강조하며 방어에 나섰다. 실제 김민전 의원실은 “다시 한 번 철저한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 역시 연구윤리 논란이 공직 임명 과정에서 결정적인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최근 사회적 인식 변화로 인해 논문 중복게재, 표절 문제는 단순히 개인 문제를 넘어 교육계 신뢰도 및 행정 투명성에도 직접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국회의 청문회 일정과 후보자의 공식 해명이 교육계 연구윤리 강화 기조에 어떤 신호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교육위원회는 향후 인사청문회에서 모든 관련 의혹에 대해 치밀한 검증 절차를 거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