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923억 원 K2 전차 엔진 수주”…HD현대인프라코어, 기술 신뢰로 방산 경쟁력 입증
경제

“923억 원 K2 전차 엔진 수주”…HD현대인프라코어, 기술 신뢰로 방산 경쟁력 입증

허준호 기자
입력

HD현대인프라코어가 8일 방위사업청과 총 923억 원 규모의 K2 전차용 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납품이 이뤄질 예정으로, 국내 방위산업계의 기술 자립과 신뢰성 확보가 재조명되고 있다. 이번 대규모 수주는 산업계와 군 당국 모두에 의미 있는 변화로 평가받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에 따르면 이번에 공급될 엔진은 1,500마력의 고성능 동력장치로, 56톤에 달하는 K2 전차를 시속 70킬로미터로 주행하게 하는 핵심 부품이다. 최신 공기 압축·배기가스 재활용, 진동 저감 등 첨단 설계 기술이 적용돼 친환경성과 내구성이 대폭 향상됐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방위사업청과 923억원 규모의 K2 전차 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HD현대인프라코어 제공
HD현대인프라코어는 방위사업청과 923억원 규모의 K2 전차 엔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HD현대인프라코어 제공

국내 군용 엔진 시장에서 HD현대인프라코어의 독주 체제는 이미 2014년 K2 전차 엔진 국산화 성공에 이어, 2019년 이후 방위사업청에 단독 공급을 지속하며 구축된 것이다. 업계에서는 "오랜 기간 축적한 기술력과 납품 실적이 신뢰 형성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고 말한다.

 

김중수 HD현대인프라코어 엔진사업본부장은 “HD현대의 방산 기술력과 신뢰성이 인정받은 결과”라며 “공급망 안정, 기술 투자 등 방산 경쟁력 강화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투자자들과 산업계는 이번 계약이 향후 추가 수주와 해외 시장 진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성과가 단발적 계약에 그치지 않고 국내 방위산업 전체의 공급망 자립화, 부품 국산화 촉진 등 산업 생태계 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방산 전문 연구원은 “엔진과 같은 핵심 부품이 국산화·내재화되면 수입 의존도가 감소하고, 전략물자 경쟁력도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향후 국제 시장 확장 가능성을 언급했다.

 

방위사업청 역시 공급망 국산화 정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부는 야심 차게 추진 중인 ‘국방 자립화’ 전략에 따라 엔진과 같은 핵심 부품 내재화와 국내 기술투자를 장려하고 있다. 관련 제도 개선과 정책 지원도 논의되고 있다.

 

과거 군용 엔진의 해외 의존도가 높았던 때와 비교하면, 이번 HD현대인프라코어 수주는 국내 분야의 기술 축적과 시장 환경이 크게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기존 수입 부품 대체뿐만 아니라, 방산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는 해석이 많다.

 

향후 HD현대인프라코어는 이번 수주를 바탕으로 추가 기술 개발, 글로벌 시장 진출 등 방위산업 내 입지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시장에서는 “국산 엔진 기술의 경쟁력 강화가 국내 방산산업의 성장과 해외 진출의 핵심 동력이 될지 주목된다”고 평가하고 있다.

 

정부와 업계는 정책적·기술적으로 연계한 방산 경쟁력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강조하고 있다. 향후 방산 산업의 성장 방향은 부품 기술 내재화, 안정적 공급망 구축 등이 직결될 전망이다.

허준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hd현대인프라코어#방위사업청#k2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