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 가격 작년보다 36% 급등”…기후·어획난에 수산물 물가 압박
고등어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는 현상이 7월 들어서도 계속되며 밥상 물가에 부담이 커지고 있다. 국민적 소비가 많은 생선의 급등세가 식탁과 시장 모두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어획 여건 악화와 기후변화 등 복합적 요인이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정부의 수급·가격 안정 효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 유통정보에 따르면, 7월 2일 기준 국산 염장 고등어 소매가격은 1손(마리)당 6,800원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평년 대비 71.6% 높은 수준이고, 지난해 같은 시기와 비교해도 36.0% 올라 2년 만에 최대 폭을 보였다. 오징어, 조기 등 주요 수산물 가격도 1년 새 28~30% 가까이 상승하며 수산물 전반의 물가 상승세가 확인됐다.

업계는 해수 온도 상승, 어획 어군 구조 변화 등 기후·생태 환경 변화가 주된 원인이라고 진단한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고등어 등 대중어종의 생육이 부진해 시장에 크고 상품성 있는 생선이 줄었고, 작은 고등어는 수출로 빠지는 구조여서 국내 시장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최근 통계인 1~5월 고등어 누적 생산량은 전년보다 50% 이상 늘었지만, 소비자가 선호하는 우량 고등어의 부족 현상은 심화됐다. 통계청 발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수산물 전체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7.4% 상승해 2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폭염과 고수온에 따른 양식장 피해도 수산물 시장 불안요인이다. 지난해 양식업 피해액은 1,430억 원에 달했고, 광어·우럭 등도 공급 차질로 가격이 11~52% 급등한 바 있다. 이에 정부는 비상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어업·양식장에 대한 지원과 공급 확대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대책으로 7~12월 노르웨이 등에서 고등어 1만 톤가량을 수입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양식장에는 산소 공급 장치 보급, 고수온 취약 어종의 조기 출하를 유도하는 지원 방안이 시행된다.
식품업계는 “원자재 수급·출고가가 전반적으로 악화되며 가격 인상 압박이 심하다”고 전했다. 소비자들 역시 “마트에서 고등어 값을 쉽게 감당할 수 없어 체감 물가가 크게 올랐다”고 호소했다.
여름철 기상변화와 수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정부의 물가 관리 정책 효과가 어느 정도일지 주목된다. 고등어 등 수산물 가격의 향방은 향후 국민 체감 물가와 식탁 모두에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시장 안정화를 위해 비상 대응에 나서고, 추가 조치도 강구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