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까지 실시간 번역”…네이버, 파파고 플러스 혁신 확장
AI 기반 번역 기술이 글로벌 협업과 소통 방식을 다시 쓰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최근 자사 번역 구독 서비스 ‘파파고 플러스’에 실시간 음성 번역 기능을 공식 추가했다. 파파고 플러스는 한국어·영어·일본어 등 음성을 포함해 총 15개 언어로 자동 번역해주는 혁신적 기능을 내세우며, 교육·비즈니스 환경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플랫폼으로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업데이트를 음성 기반 AI 번역 경쟁의 중대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29일 공개한 이번 기능은 기존 문서·이미지 번역 중심 서비스와 차별화된다. 이용자가 모바일 앱이나 PC에서 직접 녹음하거나, 저장된 음성 파일을 PC에서 업로드해 최대 60분 분량까지 번역을 제공한다. 추후 모바일 앱에서도 음성 파일 번역이 지원될 예정이며, 특히 외국어로 진행되는 회의·강의 등 현장 상황에서도 실시간 자막 생성 및 다국어 기록 지원에 강점을 보인다.

기술적으로, 일반적인 음성 번역은 ‘음성→텍스트→번역’으로 단계가 별도 처리된다. 네이버는 이번에 음성 인식과 번역이 결합된 단일 AI 모델로 최신화를 구현했다. 이를 통해 반응 속도가 크게 줄고, 언어별 번역 정확도 역시 높인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 측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언어쌍에서 최고 수준의 품질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처럼 다국어 실시간 음성 번역은 국내외 IT기업이 최근 경쟁적으로 뛰어드는 영역이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도 유사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으나, 네이버는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모델·용어집·문서 협업 기능 등을 결합해 사용성에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파파고 플러스 유료 서비스는 문서·이미지 번역 시에도 원본 포맷과 디자인을 보존하고, 번역 결과의 편집 및 공유 기능이 강조된다.
국내 이용자를 위한 ‘사전 용어집’, 최대 100명까지 팀 협업 지원, 이미지·문서 번역 사용량 공유 등 기업·교육 현장에서의 실효성도 크다. 특히 고도화된 AI 번역 품질로 비즈니스 회의,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과정의 언어 장벽이 낮아질 전망이다.
음성 번역 기술은 데이터 보호, 개인정보 관리 측면에서 새로운 규제 및 윤리 기준도 요구된다. 미국·유럽에서는 AI 번역서비스 데이터 취급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강화되는 추세로, 향후 국내 제도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음성·문서·이미지를 통합하는 AI 기반 번역 서비스가 언어 산업의 구조를 크게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네이버 파파고를 포함한 AI 번역 서비스들이 실제 시장에서 얼마만큼 신뢰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