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차원서 통일교 돕고자 노력”…김건희, 샤넬백·목걸이 의혹에 국정 관여 정조준
김건희 여사가 통일교 측으로부터 고가의 샤넬백과 보석류를 선물받고, 통일교 인사에 전화로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힌 정황이 특검 수사에서 확인됐다. 대통령 배우자 신분을 내세웠다는 정황과 함께 김 여사가 국정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인물임이 공소장에 명시돼 정치권의 파장이 예상된다.
3일 연합뉴스가 입수한 조현아 특별검사팀의 공소장에 따르면,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 씨는 2022년 4월과 7월, 건진법사인 전성배 씨를 통해 각각 802만원, 1천271만원 상당의 샤넬 가방을 김건희 여사에게 전달했다. 전성배 씨가 경기 가평 통일교 카페에서 윤 씨로부터 가방과 농축차를 수령해 김 여사에게 전달하고, 이후 윤 씨의 통일교 관련 청탁도 함께 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검팀은 전 씨가 같은 해 4월 23일 김 여사에게 "비밀리에 통일교와 접촉하라"는 제안을 했고, 이어 4월 26일에는 'UN 제5사무국 한국 유치 청탁'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적시했다. 아울러 6월 말 윤 씨가 샤넬백 추가 제공 의사를 밝히자, 나토 순방에서 귀국 후 일정을 맞춰 7월 5일 서울 소재 호텔에서 전 씨가 윤 씨를 만나 다시 샤넬백과 함께 대규모 행사 지원, 정부 조직·예산 협조 등 통일교의 여러 청탁 요구를 김 여사에게 전달한 사실을 파악했다.
김 여사는 선물 수수 직후인 7월 15일 윤 씨에게 전화해 "샤넬백 감사하다. 대한민국 정부 차원에서 도와주고 있다"는 취지의 감사 인사와 함께, 정부의 지원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특검팀은 설명했다. 또, 김 여사는 윤 씨에게 "앞으로 건진법사와 의견을 공유해 달라", "많이 도와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김 여사가 대선에서 지원을 받은 통일교 측과 이후에도 상호 신뢰와 청탁이 오가는 ‘상생 관계’를 맺어왔다고 밝혔다.
특검 공소장에는 김 여사의 신분에 대해서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배우자로서 대통령의 직무에 해당하는 국정 운영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사람"이라고 명기했다. 김 여사가 신분 없음과 무관함을 강조하면서도 실질적으로 국정에 영향을 미쳤음을 드러낸 대목이다. 실제로 김 여사는 과거 특검 출석 시 "아무것도 아닌 사람"이라며 자신을 낮췄으나, 공직 유관자의 뇌물죄 적용을 피하려는 전략 아니냐는 관측도 이어지고 있다.
통일교 측은 샤넬백 외에도 2022년 7월, 6천220만원 상당의 그라프 목걸이 등 고가의 보석류도 김 여사에게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전 씨는 통일교 관계자에게 "향후 통일교에 은혜를 갚겠다. 통일교 측은 내가 책임지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특검 공소장에는 김 여사와 건진법사, 통일교의 관계 설정 배경이 상세히 기술됐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 대선 당선에 통일교의 지원이 컸다는 점이 언급됐고, 당선 직후인 2022년 3월 30일, 김 여사가 윤 씨에게 감사와 함께 "총재님께 인사드리겠다", "많이 도와달라"며 건진법사와 소통을 요청한 통화 내역이 강조됐다.
정치권과 시민 사회에서는 김 여사의 물품 수수와 통일교와의 연계가 국정 운영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훼손하는 사안이라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다. 야권은 대통령 배우자 역할과 책임, 검찰의 엄정 수사 필요성을 연일 강조하며 공세를 펼치고 있다. 여당은 아직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으나, 공소장 내용이 차기 대선과 정국에 중대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정가 일각에선 대통령실과 김 여사 모두가 관련 의혹에 대해 명확한 해명과 입장 표명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검찰과 특검 수사가 이어질 예정인 가운데, 국회 역시 곧 관련 진상 규명과 제도 보완 논의에 착수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