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반도체·승용차 수출 호조”…한국 車산업, 美·中 부진→시장 재편 신호
자동차

“반도체·승용차 수출 호조”…한국 車산업, 美·中 부진→시장 재편 신호

최유진 기자
입력

한국 자동차 산업이 반도체와 승용차를 중심으로 견고한 수출 동력을 이어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중국 등 주요시장에서는 수출이 주춤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7월 1일부터 20일까지 국내 전체 수출은 361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2% 감소했으나, 승용차 수출은 3.9%의 성장세를 보였다. 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15.5일로 줄어든 조업일수를 감안한 일평균 수출액은 오히려 4.1% 늘어나 자동차 산업의 기초 체력이 여전함을 방증한다.

 

품목별로는 반도체(16.5% 증가), 선박(172.2% 증가), 승용차가 수출 증가를 주도했으나, 자동차 부품(-8.4%)과 석유제품(-17.5%)은 부진했다. 시장별로는 유럽연합, 베트남, 대만 등에서 수출이 늘어난 반면, 수출 비중이 높은 미국(-2.1%)과 중국(-5.9%)에서는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업계는 미국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에 더해 조업일수 축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진단한다.

반도체·승용차 수출 호조”…한국 車산업, 美·中 부진→시장 재편 신호
반도체·승용차 수출 호조”…한국 車산업, 美·中 부진→시장 재편 신호

전문가들은 무역수지 흑자가 유지되고 있음에도 소비 중심국인 미국, 생산 거점인 중국에서의 수출 감소가 한국 자동차 산업 전반에 긴장감을 부여한다고 분석한다. 달라진 글로벌 정책환경과 지역별 수요 변화가 자동차 및 부품 등 연관 산업의 전략 재편을 촉구하는 가운데, 하반기 국제정세 및 원자재 가격 변동 등이 수출 흐름의 또다른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유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자동차산업#반도체#미국·중국수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