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다자주의 흔들 수 없다”…중국, 미국 인도산 고관세 위협에 강력 반발
현지 시각 21일,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싱크탱크 행사에서 쉬페이훙(许飞洪) 주인도 중국 대사가 최근 미국(USA)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빌미로 인도(India)산 제품에 최대 50%의 고율 관세 부과를 경고한 것과 관련해 공개적으로 강하게 반발했다. 중국은 다자무역주의 수호와 인도와의 경제 협력 강화 의지를 피력하며, 자국 중심의 일방적 무역 압박에 맞서 단호히 대응할 방침임을 분명히 했다.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의 관세 위협이 인도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 신흥국 투자자 심리에까지 직접적 충격을 주고 있다는 평가 속에 나왔다.
현지에서 쉬 대사는 “미국이 인도산 제품에 최대 50% 관세를 경고하는 행위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패권적 무역 압박에 침묵하거나 타협한다면 행태가 더욱 대담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은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로 인도에 이미 26% 상호관세를 부과 중이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7일부터 그 두 배인 50%까지 관세 인상을 예고했다. 미-인도 양국은 최근 협상에도 합의에 이르지 못한 상황이다.

중국은 이번 사안을 미-인도-중국 삼각 구도 내 전략적 균형 속에서 바라보고 있다. 과거 미중 갈등, 미-인도 경제 협상 결렬 사례 등과 맞물려, WTO가 강조하는 다자무역 체제의 원칙이 점차 후퇴하는 것에 대한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 쉬 대사는 “미국은 오래도록 자유무역의 혜택을 누려왔지만 현재는 관세를 협상 수단으로 남용하고 있다”며, 중국과 인도가 IT·바이오·전기차 등 보완적 산업 구조를 통해 더 긴밀한 경제협력의 여지가 있음을 부각시켰다.
이에 대해 인도 정부는 “국익 보호를 최우선하며, 각국과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측은 “공정 무역 촉진과 러시아 제재 원칙 준수”를 재강조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미국의 대(對)인도 압박이, 중국과 인도의 역내 경제·외교 협력 강화라는 파장으로 번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글로벌 주요 매체들 역시 “관세전쟁이 신흥국 사이 새로운 전략적 연대를 추동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이번 논란은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7년 만에 중국을 공식 방문해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하고, 시진핑 국가주석 및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별도 양자회담을 앞두고 있는 민감한 시점에 부상했다. 시장에서는 “관세 갈등이 인도와 중국, 신흥국 통화와 증시의 변동성을 키우고 글로벌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경계감도 커지고 있다.
세계 질서 내 무역 다자주의 후퇴, 신흥국 주도 경제협력 구도 변화 등 향후 충돌과 연대의 균형에서 어떤 새 흐름이 형성될지 주목된다. 국제사회와 글로벌 투자자들은 미국의 추가 조치와 주요 정상회의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