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찰위성 전력화 맞대결”…국방부, 최종 5호기 발사 성공으로 24시간 감시체계 구축
한반도 정찰 체계를 둘러싼 치열한 남북 간 우주전이 다시 불붙었다. 국방부가 11월 2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425 사업'의 마지막 정찰위성 5호기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히면서, 자주 국방을 위한 실시간 감시체계가 본격화되는 모양새다.
정찰위성 5호기는 이날 오후 2시 9분(한국시간)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우주로 향했다. 발사 2분 18초 만에 1단 추진체, 23초 후에는 페어링(위성보호덮개)이 각각 분리됐으며, 이후 14분 만인 2시 23분 목표궤도 안착에 성공했다. 3시 9분에는 지상국과의 교신이 이뤄졌다. 군은 “정찰위성 5호기는 앞으로 수개월여 간 운용시험을 거쳐 대북 감시·정찰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로써 군은 이미 정상 운용 중인 1∼4호기 위성과 더불어 24시간 전천후 한반도 전역 감시라는 독자적 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국방부는 “정상 운용 중인 1∼4호기와 함께 군집운용으로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했다”며 “1∼3호기는 전력화 완료, 4호기는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정찰자산 강화의 의미에 대해 전문가들은 군집 위성운용 방식이 북한의 미사일 활동과 핵 개발 대응에 중요한 전환점이라고 평가한다. 여야 정치권 일부에서도 “안보에 있어 기술 자립은 어떠한 외교 환경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는 기반”이라는 논평이 나왔다.
한편 국방부는 “초소형위성 도입과 발사체 확보 등 우주작전 수행능력 고도화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자주 국방을 위한 국내 발사장, 발사체 확보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치권 일각에선 이번 정찰위성 군집운용이 동맹 중심 안보정책에서 전략적 자율성 강화의 신호탄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앞으로 초소형 위성체계 전력화 등 국방우주력 증강을 위해 법·제도 정비와 예산 투입을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