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차량 기종 연내 확정”…방위사업청, 한화에어로-현대로템 신경전 속 사업 재개
다목적 무인차량 사업을 두고 방위사업청과 대형 방산업체 간 신경전이 격화됐다. 정밀한 성능평가 기준을 둘러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의 이견 속에 사업 추진이 반년 가까이 표류했으나, 방위사업청은 "올해 안에 기종을 확정하겠다"며 절차 재개를 공식화했다.
20일 방위사업청은 육군·해병·국방과학연구원·국방기술품질원 등 관계 기관과의 회의에서 다목적 무인차량 구매 사업 재개를 확정했다. 이어 사업 경쟁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을 대상으로 조만간 최대성능확인 평가 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496억3천만원 규모로, 감시·정찰·전투·물자 이송 등 역할을 담당하는 미래형 지상 플랫폼 도입이 골자다. 병역 자원 감소에 대응하는 혁신 전력화로, 육군의 미래형 전투체계 '아미 타이거'(Army TIGER) 사업과도 긴밀하게 연동된다.

사업 절차는 제안서 평가, 대상 장비 선정, 작전운용성능(ROC) 평가, 전투용 적합 판정까지 진행됐다. 그러나 최종 단계인 최고성능확인평가를 앞두고 방위사업청이 "제안서 성능 수치만을 최대성능으로 간주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업체 간 갈등이 불거졌다. 현대로템은 "평가 과정에서 제안서 수치를 넘어서는 성능을 입증하면 이를 인정받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방위사업청의 기존 입장 수용 의지를 재차 밝혔다.
현대로템은 "지난 3월 사업설명회에서 방위사업청이 공식적으로 성능 기준을 명확히 안내하지 않았다"고 반박했으나, 방위사업청은 전력화 사업의 효율성과 일정 준수를 근거로 기존 방침을 고수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절차 지연은 사실상 종지부를 찍었다.
방위사업청 관계자는 "군 작전에 가장 적합하고 성능이 뛰어난 장비를 공정하게 선정하겠다"고 강조했다. 방위사업청은 사업 재개를 공식화하며, 연내 장비 선정 및 계약 체결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치권과 방산업계는 이번 다목적 무인차량 선정 결과가 향후 2·3차 추가 사업, 나아가 국내 방위산업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육군의 전투체계 현대화와 병력 감축에 대응한 기술경쟁이 한층 가열되는 가운데, 정부의 사업 정상화 방침에 따른 후속 일정이 업계의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