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초기 군 헬기·수송기 즉각 투입”…국방부·산림청, 재난 대응 협력 본격화
대형 산불을 둘러싼 재난 대응 체계 개편을 두고 국방부와 산림청이 전례 없는 공조에 나섰다. 산불 초기 단계부터 군의 헬기와 수송기를 현장에 투입하기로 하며, 재난에 대한 국가 차원의 통합 방어가 시험대에 올랐다.
국방부와 산림청은 9일 양 기관 협의체의 최종 회의를 열고, 산불 진화 초동 단계부터 군 헬기와 수송기를 신속하게 투입하는 등 전방위 협력체계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최근 3월 경북·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대응 한계가 드러나자, 범정부 차원의 공동 대책이 긴급 추진된 것이다.

핵심 내용은 군 헬기 40여 대를 즉각 투입 전력으로 지정하고, 추가 동원이 가능한 예비 전력도 준비하기로 한 점이다. 국방부는 “헬기 조종사에게 산불 진화용 물 투하 훈련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산림청은 전문 교관을 파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갑수 국방부 군수관리관은 “산불을 재난 안보 상황으로 인식하고, 체계 개선과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모든 자원을 동원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산불 현장 대응을 위해 공군 수송기에 물탱크를 결합한 ‘공중진화시스템’ 시범 사업도 예고됐다. 이 사업은 2027년 2월 이후 도입돼, 대형 산불 진압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이와 병행해, 극한 기상이나 야간에도 실시간 화선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군 정보 자산 활용도 적극 검토 중이다.
정치권과 정부 부처는 이러한 협력 모델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용권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은 “군이 보유한 안보 자산을 산불 감시와 진화 자원으로 연계하는 것은 범정부 차원의 통합 관리의 모범사례”라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등이 조율하는 ‘범정부 산불진화자원 운용협의체’에도 함께 참여해, 효과적 자원 배분과 공동 대응에 주력할 계획이다.
올해 잇따른 대형 산불로 국가 재난 대응 역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진 가운데, 군-산림청의 합동 대응이 실제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이끌어낼지 주목된다. 정부와 각 기관은 이번 운영 방안을 계기로 실효성을 점검하고, 추가적인 제도 개선 논의도 이어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