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환 증인신문 법원 청구”…이명현 해병특검, 구명로비 의혹 정면돌파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둘러싼 해병대 수사에서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과 김장환 극동방송 이사장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김장환 이사장이 여러 차례 참고인 출석 요구에 불응하자, 특검팀이 법원을 통한 공판 전 증인신문에 나서기로 하면서 수사 국면이 전환됐다. 이같은 강제 조치는 구명로비 의혹 관련 당사자들의 진술 확보가 쉽지 않다는 현실 인식에서 비롯됐다.
29일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금주 중 김장환 목사의 공판 전 증인신문 청구서를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정민영 특검보는 정례브리핑에서 “참고인 신분의 김장환 목사에 대해 공판 전 증인신문 청구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한기붕 전 극동방송 사장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법원 증인신문 청구를 검토 중”이라고 강조했다.

공판 전 증인신문 절차는 참고인 출석 불응 등으로 정상적 조사가 어려운 경우, 재판 개시 전 법원 내 증언대에서 진술을 확보하는 강제적 사법 절차다. 사건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김장환 목사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로비에 관여한 정황을 집중 조사받고 있다. 특검팀은 참고인 신문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수차례 출석을 요구했으나, 김장환 이사장과 한기붕 전 사장은 협조하지 않고 있다.
수사 이상의 증거 확보를 시도하는 특검팀의 절차적 압박과 함께, 양측 해명과 반론도 맞서고 있다. 김장환 측은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만남은 2023년 8~9월간 세 차례 있었으나, 모두 다수 인사가 참석한 공식 행사였다”며 사적 접촉이나 로비 사실을 전면 부인했다. 또 같은 해 8월 14일 우크라이나 어린이 돕기 모금 방송 관련 접견, 대통령 부친상 조문, 9월 ‘대통령 해외 순방 전’ 기도회 등 동행자, 참석자, 기관 명단을 근거로 면담의 공적 성격을 강조했다. 이어 “임 전 1사단장에 대한 구명로비를 받은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한기붕 전 사장의 휴대전화 포렌식 결과, 1만9천여건에 이르는 자동전화 녹음 중 채상병 사건 이후 약 1년간 13건만 남겨져 있어 증거 인멸 의혹도 추가로 불거지고 있다. 이에 대해 특검은 사실관계를 면밀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또 수사외압 의혹 참고인인 이종호 전 해군참모총장에 대해서도 재판 시작 뒤 증인 신청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전 총장은 지난해 7월 30일 김계환 전 사령관으로부터 채상병 사망사건 수사 상황을 보고받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채상병 사건을 둘러싼 진위 공방과 수사외압 논란은 해병특검 수사·법정 증인신문 국면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특검팀이 강제적 증언절차에 나선 것을 두고 수사의 고삐가 더욱 조일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유력 인사들의 실체적 진술 확보 여부가 사건 향방을 가를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국회와 정치권은 이번 사건 관련 증인신문 결과를 예의주시하며, 향후 정치권 파장과 추가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뒤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