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위한 공공활동, 韓 정부도 함께”…이재명, 빌 게이츠와 글로벌 보건 협력 강화
정치적 협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 이재명 대통령과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만나 글로벌 보건, 기후, 빈곤 문제를 논의하며 공공 협력 방안을 두고 머리를 맞댔다. 첨예한 국제 정세와 기술 변화 속에, 두 인물의 대화는 향후 한국이 주도할 글로벌 헬스케어 협력의 방향을 가늠하게 했다.
이날 접견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구와 지구인 전체를 위한 공공 활동에 경의를 표한다”며 “대한민국 정부도 함께할 방법을 최대한 찾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빌 게이츠 이사장의 윈도우 개발 일화를 언급하며, “이를 통해 사람들이 모두 세상을 보는 창문을 가지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인류를 위한 공공재 개발에 적극 나선 점도 존경스럽다”며 인간 중심 기술의 사회적 의의를 강조했다.

빌 게이츠 이사장은 게이츠재단이 25주년을 맞아 “앞으로 20년 내에 모든 재산과 재단 기금을 사용하겠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2천억달러의 자산을 전 세계 보건 개선에 쓸 것”이라며, “향후 20년간 아동 사망자를 연간 200만명 이하로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현재 아동 사망자 수를 80% 이상 감소시키겠다는 목표라고도 덧붙였다.
특히 게이츠 이사장은 “한국이 이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역설했다. “한국 바이오 사이언스 제품들은 경이로운 수준”이라며, IVI(국제백신연구소), SD바이오, SK, LG, 유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기업의 성장을 직접 언급했다. 그는 “10년 전보다 커진 한국 바이오 산업 규모를 몸소 실감했다”며, 코로나 백신·진단기기 등에서의 실질적 성과를 평가했다.
또한 게이츠 이사장은 “지정학적 환경 변화, AI 등 기술 혁신의 시대에 한국은 전략적 점검을 통해 솔루션 개발 분야에서 입지를 공고히 할 기회가 왔다”는 견해를 내비쳤다. 미래 기술 리더십을 위한 한미 글로벌 협력의 시사점도 함께 거론됐다.
정치권과 산업계에선 이번 접견으로 국내 바이오·보건 산업 국제 협력 확대가 한층 탄력을 받을 거란 전망이 확산됐다. 해외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와 재단이 힘을 합칠 경우 글로벌 백신 공급 구조와 빈곤 퇴치 시스템에서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이날 접견에는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배석해 한국 정부의 실무적 관심도 확인됐다. 공식 환영 인사 자리에서는 양측이 서로 감사의 뜻을 전하는 장면도 목격됐다.
정부는 향후 게이츠재단과 백신 개발, 기후 변화 대응 등 다양한 글로벌 협력사업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