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에이전트로 업무혁신 가속”…뤼튼, 사내독립기업 AX 출범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반의 전환(AX)이 IT·바이오 산업 내 업무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AI 서비스 플랫폼 전문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조직 내 신속한 의사결정과 맞춤형 AI 전환 지원을 목표로 사내독립기업(CIC) ‘뤼튼 AX’를 설립했다고 29일 밝혔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AI 생산성 혁신 주도권 확보’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뤼튼 AX는 기업, 학교, 공공기관 등 다양한 현장에 최적화된 맞춤형 에이전틱 AI를 직접 개발·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뤼튼 측은 “성공적인 기업·기관 AI 전환을 위해 교육 및 컨설팅, 특화형 뤼튼 플랫폼 제공, RAG(검색 증강 생성) 기반 AI 파이프라인 및 MCP 서버 활용 등 모든 단계를 일괄 지원한다”고 밝혔다. 기존 디지털 전환(DX) 대비, AX는 현업 업무 프로세스를 단위별로 분석해 자동화 및 최적화를 가속화하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뤼튼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주요 기관과의 실제 협업을 확장 중이다.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작성용 AI 도구 개발과 경기도교육청의 생성 AI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 등에 참여하며, 맞춤형 AX 성공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마케팅 분야 등 민간 기업 협업도 늘고 있다.
실효성 측면에서도 뤼튼 자체 분석 결과, 사내 에이전틱 AI 솔루션 도입 후 관련 부서의 업무생산성이 15%에서 최대 35%까지 향상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기업, 기관 등에서 AI를 단순 지원 도구가 아닌 핵심 업무 자원으로 삼는 흐름을 반영한다. 사용자들은 ‘AutoBE’와 같은 간편 제작 도구로 CS, 재무, 코딩 등 기능별 AI 에이전트를 직접 구현하고, 이에 기반한 실제 서비스 배포도 단기간에 이뤄진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SaaS형 AI 자동화, 생성형 에이전트 플랫폼 경쟁이 본격화된 상황이다. 해외 빅테크도 유사한 업무 자동화 플랫폼을 잇따라 출시하며, 비즈니스·교육·공공 서비스의 실질적 혁신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보안, 생성 AI 도입에 따르는 규제 및 인증 기준에 대한 각국 정부의 검토도 함께 진행 중이다.
업계 전문가는 “AX 실사례가 누적될수록, AI 에이전트 도입 기업들의 생산성 데이터 축적이 고도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사용자 맞춤 도구가 쉽게 만들어지는 기술 기반이 산업 경쟁력 격차 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계는 진정한 생산성 혁신의 지속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결국 기술 적용 속도 못지않게, 기업·기관 업무 구조 자체의 변혁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