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친일청산 미완, 오늘의 과제”…우원식, 반민특위 유족 초청 오찬서 역사 책임 강조
정치

“친일청산 미완, 오늘의 과제”…우원식, 반민특위 유족 초청 오찬서 역사 책임 강조

한유빈 기자
입력

정치적 해묵은 논쟁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8월 13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서 해방 직후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 유족들과 만찬을 갖고 "반민특위의 역사는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오늘의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번 오찬은 광복 80주년과 광복절 전야제를 앞두고 마련됐다.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반민특위는 일제강점기에 민족을 배신하고 부일에 앞장섰던 자들을 단죄하기 위해 제헌국회가 앞장선 새로운 대한민국의 정의의 시작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1949년 6월 6일 경찰의 청사 습격으로 특위 활동이 강제로 중단되며, "민족 반역자들에 대한 처벌은 역사 속 미완으로 남았다"고 말했다.

우원식 의장은 친일청산의 과제가 여전히 오늘의 문제임을 명확히 했다. 그는 "친일 청산 미완은 우리 사회 곳곳에 여전히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며, "역사 정의가 실현되는 나라, 독립운동 정신이 살아 숨 쉬는 나라를 만드는 길에 국회가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정치적 논란이 격화되는 지점은 광복절 행사 참가 여부에서도 드러났다. 우 의장은 지난해 윤석열 정부가 주관한 광복절 행사에 불참한 배경을 직접 설명했다. 그는 SNS에서 "윤석열 정권에서의 광복절 행사는 최악"이라며, "뉴라이트 출신이 독립기념관장에 임명되면서 논란이 불거졌고, 광복회가 공동행사 주최임에도 불참을 선언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가의 서열 2위인 국회의장 역시 도저히 참석할 수 없었다"며, "국가와 민족의 가장 기쁜 날을 이렇게 속상해하고만 있을 수 있을지 고심했다"고 전했다.

 

앞서 우 의장은 "광복절 전야제로 국민축제를 열자, 그것도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하자"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야제 취지에는 국가보훈부와 광복회도 동의해 공동 주최에 나서게 됐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우원식 의장은 이날 덕수궁 돈덕전에서 열린 국가유산청 주최 광복 80주년 특별전 ‘빛을 담은 항일 유산’ 전시회를 찾아 항일정신의 현장을 직접 관람했다.

 

정치권은 우원식 의장의 이 같은 일련의 행보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한편에서는 친일청산 등 역사적 과제가 정국에서 재부상할 공산이 커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광복 80주년을 맞아 국회와 정부의 기념사업 추진 과정과 관련 논쟁이 향후 정국 주도권 경쟁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한유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원식#반민특위#광복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