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단계적 정년연장 이미 국정과제 반영”…정청래, 민주노총 간담회서 노동계 목소리 강조

권하영 기자
입력

정치적 현안인 정년 연장을 두고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지도부가 맞붙었다. 사회 각계의 노동 현안에 대한 간담회가 이어지는 가운데, 노동계와 여당의 시각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주요 내용에는 단계적 정년연장과 노동자 권리 보장, 한미 관세협상에 대한 비판이 포함됐다.

 

정청래 대표는 6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을 방문해 열린 간담회에서 "단계적 정년연장이 이미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상당 부분 반영됐다. 노동계의 의견을 경청해 입법과 정책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노동자와 노동조합은 이재명 정부의 강력한 지지세력이며, 노동 가치 존중은 민주노총과 민주당 모두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산업재해 없는 노동 현장과 작업중지권 확대, 특수고용노동자 권리 보장 확대 등 구체적인 국정 과제를 차례로 언급하며 "노동자의 산업재해 희생을 막는 데 반드시 속도를 내겠다"고 약속했다. 정 대표는 초기업 교섭 활성화, 5인 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확대 적용 등 구체적 현안에 대한 노동계 입장도 청취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교원·공무원의 정치 기본권 보장 문제에 대해 "개인적으로 공감한다"고 뜻을 내비쳤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 양경수 위원장은 "정년 연장 없이는 경제활동 인구 감소와 노후 빈곤 우려를 해소할 수 없다. 청년 일자리를 늘릴 수 있도록 정치가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위원장은 노동자 작업중지권, 특수고용노동자 노동자성 인정, 근로기준법 사각지대 해소 등 시급한 입법 과제를 강조하며, "노동자를 위한 국회와 정부의 각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간담회에서는 외교 현안을 둘러싼 공방도 벌어졌다. 민주노총은 최근 한미 관세협상을 ‘미국의 조공 강요’로 표현하며 이재명 정부의 외교 노력이 체감되는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양경수 위원장은 "미국과 관세협상을 아무리 노력해도 그 결과가 노동자 삶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 대표는 "트럼프에 대한 의견은 충분히 중요하며, 각자의 자리에서 애국심을 갖고 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고 호응했다.

 

정치권은 정년 연장과 노동 현장 개선, 한미 통상 문제를 놓고 접점을 모색하는 한편, 간담회에서 드러난 양측 입장을 정책으로 어떻게 풀어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국회는 향후 정년 연장 입법 논의와 노동 관련 현안에 대한 본격 심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청래#민주노총#정년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