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데이터 일원화 논의”…한국형 플랫폼 구축 전략→규제 대응
글로벌 자동차 산업이 고도화된 공급망 규제에 직면한 가운데, 국내 자동차산업 전체를 아우르는 데이터 플랫폼의 구축 필요성이 전면에 등장했다. 9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주최로 서울 자동차회관에서 개최된 ‘자동차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 전략 토론회’는 유럽연합을 비롯한 주요 선진국의 공급망 디지털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현실 점검과 전략 수립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전 과정 환경영향평가와 디지털제품여권(DPP) 등 복잡해진 규제가 급속히 확산하는 가운데, 다단계 공급망 구조를 지닌 국내 자동차산업은 하위 단계 영세업체의 대응 역량 부족이라는 뚜렷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실제로 유럽연합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과 실사지침(CSDDD)은 공급망 전반에 ESG 정보의 공개 및 관리 의무를 부과하며, 미국, 일본 등 주요국들로 관련 규제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 중인 국내 자동차데이터플랫폼 사업 역시 글로벌 표준 ‘카르테나-X’와의 호환성을 확보해 데이터 분석과 교환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으나, 민간·공공 영역 간 실질 협력 및 운용 일원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토론회 현장에서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규제 대응력 제고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구축과 더불어, 데이터 호환 인프라를 국가 전략에 반영해 신속하고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 인프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특히 일본의 ABtC 실증 사례를 언급하며, 자동차와 배터리 밸류체인의 전 과정에서 ESG 요구에 적합한 데이터 기반 솔루션 마련을 강조했다. 향후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유지와 수출 기반 확보를 위해 민관의 통합적 논의와 기술적·제도적 투자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