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외국인 관망세에 주춤”…아시아나항공, 단기 변동성 지속
산업

“외국인 관망세에 주춤”…아시아나항공, 단기 변동성 지속

이준서 기자
입력

항공운송 업계가 최근 실적 변동성과 수요 회복 국면에서 단기 등락을 경험하고 있다. 23일 오후 3시 1분 기준, 아시아나항공의 주가는 9690원을 기록해 전 거래일 종가인 9710원보다 20원(0.21%) 하락하는 약보합세를 나타냈다. 투자자들은 실적 전망과 단기 수급 요인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양상이다.

 

7월 23일 장 초반 아시아나항공 주가는 9730원에 출발, 오전 한때 9750원까지 올랐다가 다시 9620원까지 밀리는 등 장중 변동폭 130원으로 제한적 움직임을 보였다. 거래량은 6만9130주, 거래대금은 6억6800만 원 수준으로 전일 대비 뚜렷한 급증세가 없었다.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 모두 적극 매수세를 보이지 않으면서 관망 기조가 우세했다.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출처: 네이버페이 증권

이 같은 흐름을 두고 증권가에서는 실적 발표와 업황 대전환이라는 변수가 당분간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2024~2025년 항공운송 업계는 국제선 수요 회복 및 유가 변동, 해외여행 심리 등 구조적 요인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여전하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경쟁심화와 통합 이슈 등으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현장 관계자는 “시장 전체적으로 뚜렷한 상승 모멘텀이 부족해 관망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유가·환율 등 대외 변수 악화 시 실적 하향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반면 일부 애널리스트는 여름 휴가 수요 증가, 글로벌 운임 정상화 등 호재가 하반기 반영될 경우 점진적 회복 흐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정부와 유관기관은 항공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제노선 지원 확대, 재무 리스크 완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정책 효과가 단기간 내 수익성에 전면 반영되기 어렵다는 점도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주가 단기 실적과 정책 기대, 글로벌 경제지표 등에 민감하게 움직이는 만큼 투자수급 모멘텀과 기업 구조조정 방향성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책과 시장의 속도 차를 어떻게 좁힐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준서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아시아나항공#항공운송업#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