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디지털화”…SKAX, ASEIC와 협력 본격 시동
디지털 탄소중립 솔루션이 제조 산업의 글로벌 ESG 기준을 끌어올리고 있다. SKAX가 공식 국제협력기관 ASEIC와 손잡고 아시아·유럽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탄소중립 사업 지원에 나서 주목받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협력이 친환경 전환 및 공급망 관리의 디지털 패러다임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주시하는 분위기다.
SKAX는 22일 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ASEIC)와 중소·중견 제조기업 탄소중립 전환 지원을 위한 사업 협약을 체결했다. ASEIC는 2011년 설립된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산하 기관으로, 현재 51개국을 대상으로 친환경 기술, ESG 확산, 관련 교육 컨설팅을 제공하며 약 470여 개 기업과 직간접적 협력망을 구축하고 있다.

협력의 중심에는 SKAX의 ‘클릭ESG’ 플랫폼이 있다. 클릭ESG는 온실가스 배출 인벤토리(관리대장) 구축부터, 감축 목표 설정·이행 계획 관리, 연간 로드맵 구축, 실사용 데이터 집계까지 통합 지원하는 디지털 솔루션이다. 사용자 기업이 전력 사용량, 감축 투자비, 이행 현황 등 핵심 데이터를 입력하면, 실시간 통계와 목표 이행률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수기 관리 대비 입력 오차를 줄이고, 탄소 감축 논리와 실행력 모두를 강화시켰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이번 협력은 글로벌 공급망 전반의 ESG 기준 강화, 탄소배출 보고 의무, 투자유치 연결 등 실무 현안의 해결 가능성을 시사한다. ASEIC 협력 참가 기업들은 클릭ESG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ESG 경영 목표를 설계할 수 있어, 중소·중견업체의 규제 대응력과 친환경 시장 진입 발판도 확보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EU 공급망 실사법,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조차 체계적 탄소 데이터 관리 역량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SKAX는 이번 ASEIC와의 전략적 협력으로 네트워크 확장과 솔루션 현지화, 각국 정부 및 기관과 실무적 정책 지원까지 파트너십을 키우게 됐다.
이번 협약은 오는 9월 제주 개최 예정인 ASEIC 국제 워킹그룹 회의에서 공식 의제로 상정돼 회원국 정부에 소개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ESG 플랫폼이 표준화되면, 아시아·유럽 제조 산업 전반의 탄소중립 ‘실행 기술’ 기반이 촉진될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SKAX-ASEIC 협력이 ESG 디지털화와 글로벌 확산의 기폭제가 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정책, 현장 과제 간의 결합을 통한 전환 모델 마련이 시장 안착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