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88% 소진”…음식점·편의점 중심 소비 개선, 매출 증가 확인
정부가 전 국민에게 지급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88.1%가 이미 사용된 것으로 집계되며, 소비심리 회복과 소상공인 매출 증가 등 경제적 효과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생필품 중심의 소비 진작과 함께 지역 경제 전반의 활력이 회복되는 신호로 해석하고 있다. 2차 지급을 앞두고 정책 효과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행정안전부는 19일 9월 14일 기준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집행 현황을 발표했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6조 177억 원 중 5조 2,991억 원이 실제로 결제에 사용돼 소진률은 88.1%였다. 전체 지급액 9조 693억 원(약 58만 명 신청) 가운데 99%가 신청 마감일까지 집행 완료됐다. 사용처별로는 음식점(40.3%)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마트·식료품(15.9%), 편의점(9.5%), 병원·약국(9.1%) 순이었다.

이처럼 음식점, 편의점 등 생필품 업종에 소비가 집중되면서 소상공인 매출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소상공인연합회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5.8%가 소비쿠폰 지급 이후 매출이 늘었다고 밝혔으며, 이 중 절반 이상은 10~30%의 매출 증가를 체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비심리지표도 개선됐다. 한국은행의 소비자심리지수는 지급이 시작된 7월 110.8, 8월에는 111.4로 7년 7개월 만에 정점을 찍었고, 중기부·소진공 경기동향 조사도 8월 체감 BSI와 9월 전망치 모두 상승했다.
아울러 소비쿠폰을 계기로 주민 단위의 나눔 사례와 취약계층 복지 연계 서비스 강화 등 공동체 회복 움직임이 이어졌다. 전국 각지에서 소외계층과 경찰·소방 인력에게 간식·식료품을 전달하는 행사가 잇따랐고, 지방자치단체도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를 40만 2,000여 건 수행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소비쿠폰이 골목상권을 넘어 지역 사회 전체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며, “오는 22일부터 시작될 2차 지급을 통해 가치 소비 확산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정책 방향은 2차 소비쿠폰 집행 결과, 소비심리·소상공인 매출 추이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2차 지급 정책이 경기 회복세를 더욱 가속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