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여파 해소”…배경훈, 우체국 서비스 정상화 총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일시 마비됐던 우체국 전산시스템이 빠르게 복구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9일 서울광화문우체국 복구 현장을 방문해 ATM과 집배원 단말기 등 핵심 시스템의 정상 작동을 직접 점검했다. 이번 현장 점검은 최근 발생한 전산 장애로 국민 생활 밀접 서비스에 타격이 있었던 만큼, 추석 연휴 전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의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실시됐다. 정부와 우정사업본부는 26일 화재 발생 직후 24시간 비상대응체제를 가동, 28일 밤 9시를 기점으로 우체국 예금·보험 등 중심 금융 서비스를 정상화했다. 우편 물류 또한 기존 시스템 재가동을 통해 통상·소포·국제우편 접수 및 배달 조회가 가능해진 상태다.
이 과정에서 집배원이 사용하는 배달시스템(PDA) 및 현금자동입출금기(ATM)는 물론, 창구업무 실사용 현장에 대한 점검도 병행됐다. 배 장관은 현장 직원들과의 간담회에서 “국민의 일상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불편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여달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복구는 물리적 인프라 및 데이터 백업 체계, 재난 복원 시나리오 효율화를 위한 시험대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국내 주요 금융·공공 인프라의 시스템 장애 발생 시 전 국민 서비스 마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는 대응 프로세스 개선이 필수라고 보고 있다. 글로벌 주요 국가에서도 데이터센터 화재, 재난 등 비상상황 시 행정·금융 기능을 우선 복구하는 정책이 강화됐다. 우리나라는 향후 재난 대비 백업센터 이중화, 정책 차원의 전방위 안전성 확보 요구에 직면해있다.
아울러 우편 및 금융 서비스의 조기 정상화가 중요한 시점에서 정보통신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과 사이버 보안 강화까지 병행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산업계는 이번 사례가 공공 IT 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을 높이는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복구 경험이 향후 IT 인프라 안전관리·운영 효율화 정책 설계의 계기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