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가족부 확대 차질 없이 추진”…원민경, 정책 청문회서 강한 의지
성평등 정책 방향과 여성가족부 개편을 둘러싸고 국회와 여야 간 긴장감이 높아졌다.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인사청문회에서 개혁적 정책 드라이브를 밝히면서 정치권의 주목이 집중됐다. 성평등가족부 확대 및 고용평등 임금공시제 도입 등 민감한 현안이 청문회 화두로 떠오르며 정책 추진 동력에 대한 의문과 기대가 동시에 부상했다.
원민경 후보자는 9월 3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성평등가족부’로의 조직 확대와 기능 강화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성평등정책 총괄 조정 및 거버넌스 기능 강화가 필요하다”며 “성평등 정책이 갈등의 원인이 아니라 해결의 실마리가 되도록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제활동 지원 확대와 고용평등 임금공시제 도입으로 성별 임금격차 해소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고용평등 임금공시제는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으로, 그간 논란 속에서도 성별 임금격차 해소의 핵심 정책 중 하나로 주목받아왔다. 정책 방향성에 대해 원 후보자는 “일하고 싶은 여성 누구나 사회에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동시장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부연했다. 또한 그는 “디지털성범죄 및 교제폭력 등 젠더폭력 대응체계도 한층 강화하겠다”며 “관계기관 협업을 통한 촘촘한 피해자 보호망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와 신설 정책 추진이 기존 가족정책과 일부 남성계층 반발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원 후보자는 “정책이 국민 모두를 위한 방향으로 실질적 체감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원 후보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념사업을 마련하겠다는 뜻도 공개했다. 생존 피해자가 6명 남은 상황에서 “희생과 아픔이 역사의 기록으로 온전히 보존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한부모 가정 경제지원을 위한 아동양육비 확대와 아이돌봄서비스 국가자격제 도입 등 돌봄정책 단계적 강화 계획도 내놨다.
원민경 후보자는 “25년간 법조인으로 소외계층 목소리에 귀 기울여왔다”며 “국민 모두가 행복한 대한민국을 위해 성평등 정책 운용에 매진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날 국회는 성평등가족부 확대와 임금공시제 도입 등 주요 정책을 두고 치열한 의견 대립을 드러냈다. 정치권은 향후 후속 청문절차와 함께, 정책 이행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를 어떻게 이끌어낼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