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 명단 실체 두고 쟁점 부상”…홍장원, 내란특검 조사 핵심 증언자 부각
'정치인 체포조' 의혹을 둘러싸고 내란특검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맞붙었다. 7월 9일 내란특검 수사팀이 홍장원을 소환해 체포명단 작성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접 지시 정황을 집중 조사하면서, 관련 논란이 정국 격랑을 예고하고 있다. 대통령실 최고위 인사와 정보기관 고위직의 진술이 엇갈리며, 국가 권력 운영의 이면이 다시 수면 위로 드러났다.
내란특검은 이날 홍 전 1차장으로부터 비상계엄 선포 당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통화 내역, 그리고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전달한 정·야당 대표 등 포함 ‘정치인 체포조 명단’과 관련된 증언을 확보했다. 홍장원은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라”는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고 진술했으며, 이러한 내용은 7월 9일 내란특검 구속영장 청구서에도 적시됐다.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헌법재판소 제공]](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0710/1752101240448_188283990.webp)
특검은 최근 국정원이 방첩사와 긴밀히 협의했던 정황, 명단의 실체적 규명을 위해 교차 진술과 통화 기록 등 핵심 물증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은 “홍장원이 정치적 중립성 위반으로 사직을 권유받은 것”이라며, 체포 명단 실체뿐 아니라 사직 경위까지도 다른 입장을 내놨다. 조 전 원장은 “홍장원의 메모에 여러 버전이 있다”고 주장했고, 홍장원은 “대통령 즉시 경질 지시로 조용히 사직서를 제출했다”는 취지로 맞섰다.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장에서도 양측 진술 공방은 반복됐다. 조태용이 “체포명단 실재 여부가 불분명하다”며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한 반면, 홍장원은 명단 전달과 대통령 지시 상황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치적 책임 소재·사실관계’ 논쟁이 확산하고 있다. 야당은 “권력 최정점에서 내란 책임 공방까지 번져온 상황이 조속히 규명돼야 한다”고 압박했고, 법조계 역시 “메모와 실명 언급의 법적 효력 및 명령 여부가 중대한 쟁점”이라고 평가했다.
홍장원은 정보기관 고위 경험과 현장 증언의 상징적 인물로, 올해 들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등 핵심 증인 신분으로 연이어 소환되고 있다. 그가 제출한 각종 회의록, 통신기록, 논란의 ‘정치인 체포조’ 메모 등이 이후 법적 진실공방의 가늠자가 되고 있는 셈이다.
특검은 국정원과 방첩사, 대통령실 등 관련 기관의 추가 진술과 증거를 토대로 내란 사건의 책임 구조 명확화에 집중하고 있다. 수사의 향배에 따라 정치권·정부기관 내 파장도 커지고 있다.
정치권은 ‘체포 명단’ 실체와 그 책임 소재 규명을 놓고 지난한 충돌을 이어가고 있다. 내란특검과 핵심 증인들의 진술이 교차점에서 어떻게 귀결될지, 대통령실을 겨냥한 수사와 책임 논란이 어디까지 확산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