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유족회 대표, 단체 합의 어기고 장동혁과 비공개 면담”…내부 반발 격화
5·18 민주화운동 유족회의 대표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비공개로 만나면서, 5·18 공법3단체를 비롯한 유족회 내부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오월 단체들이 국민의힘과의 공식 면담을 거부한 상황에서 양재혁 5·18민주유공자유족회장의 독단적 행보가 논란에 불을 지폈다.
16일 유족회에 따르면 양재혁 회장은 지난 6일 광주 서구의 한 병원에서 낙상 사고로 입원 치료를 받던 중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당 지도부를 비공개로 만났다. 관계자들은 장 대표 측이 병문안을 왔다는 사실만 뒤늦게 전해 들었다고 밝혔다.

양 회장은 이 자리에서 "계엄 상황으로 상처받은 광주 시민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최근 '12·3 계엄 사태'로 부상이 되살아난 만큼 국민의힘에도 보훈특별위원회와 같은 상설기구를 설치해 달라"는 의견을 전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장동혁 대표는 애초에 부상자회, 공로자회, 유족회 등 공법3단체와 5·18기념재단 측과 간담회를 추진했지만, 이들 단체는 내부 합의 끝에 일정을 거부했다. 유족회 이사회 또한 장 대표와의 만남을 진행하지 않기로 결의한 사실이 드러나며, 양 회장의 단독 행보가 드러났다.
이에 유족회 내부에서는 "이사회 결정을 어기고 단체 대표로서 부적절한 행동을 했다", "내란 정당인 국민의힘과의 면담은 5·18 유족회의 명예를 훼손한 독단적 행동"이라는 강성 비판이 이어졌다. 일부 회원들은 양 회장의 해임까지 거론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양재혁 회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민의힘 측이 예고 없이 병원을 찾아와 의도치 않게 비공개 면담이 이뤄졌다"며 "별도로 병문안을 요청하지 않았다"고 해명에 나섰다.
유족회와 5·18 단체는 향후 단체장 독단 행보에 대한 입장 정리와 재발 방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정치권은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성과 기념단체의 대표성 논란을 둘러싸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