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상반기 1조 3천억 순손실”…연체율 8.37%로 급등
새마을금고가 올 상반기에 1조 3,287억 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는 발표가 나오면서 금융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자산건전성을 가늠하는 연체율도 8.37%로 뛰어올라, 대출 부실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8월 29일 전국 1,267개 새마을금고의 올해 상반기 영업 실적(잠정치)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총자산은 288조 4천억 원으로 2024년 연말 대비 0.1% 감소했다. 같은 기간 총수신은 260조 6천억 원(0.9% 증가), 총대출은 181조 7천억 원으로 2조 원 줄었다. 세부적으로는 기업대출이 2조 9천억 원 감소하고, 가계대출은 9천억 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체율이 급격히 높아진 점이 특히 문제로 지적된다. 연체율은 2023년 말 5.07%에서 2024년 6월 말 7.24%를 기록한 뒤, 2024년 말 6.81%로 소폭 하락했으나, 올해 6월 말 8.37%까지 오르며 대출 부실 위험을 드러냈다. 순자본비율은 같은 기간 7.68%로 0.57%p 하락했으나, 최소 규제 비율(4%)은 넘겼다.
이번 순손실의 주요 원인은 연체채권 대량 매각과 대손충당금 적립 등 대출채권관련비용 증가로 분석된다. 행안부는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가계대출 규제도 이어지고 있어 중단기적으로 수익성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예수금(260조 6천억 원)과 가용 유동성(70조 4천억 원)은 여전히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규제비율 상회로 손실흡수능력은 안정적”이라고 밝히면서, 앞으로 예대비율 적정 관리와 사업예산 절감 등 경영 효율화 대책을 통해 2026년 이후부터 손실 규모를 점차 낮추겠다는 방침이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상승과 순손실 확대는 지역 기반 금융기관의 건전성 논란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관련업계와 시민사회는 재발 방지와 제도적 보완을 촉구하고 있다.
행정당국은 연체 채권관리 강화 등 추가 경영 안정화 대책을 논의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할 방침이다.
해당 사안은 향후 새마을금고의 구조조정 가능성과 지역 금융의 신뢰 회복 문제와도 맞물려 추가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