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명 숨진 어린이 캠프 참사”…기후변화 시대 대응 실패 드러나
미국 텍사스주 중부에서 기록적인 폭우와 홍수로 110명이 숨지고 173명이 실종된 가운데, 구조 대응 체계의 허점과 정부의 책임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 30명이 머물던 여름 캠프장까지 직격탄을 맞으면서, 기후 재난의 경각심이 다시금 제기되는 상황이다.
사건은 7월 4일, 텍사스 커 카운티 일대에 시간당 380밀리미터가 넘는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불거졌다. 이로 인해 과달루페 강 수위가 9미터 이상 치솟았고, 6일에는 구조대가 샌안토니오 인근 강변과 캠프장 일대를 집중 수색했으나 추가 생존자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현지 당국은 실종자 수색을 이어가고 있으며, 초기 대응과 경보 체계의 미비가 화를 키웠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피해 현장에서는 "예상치 못한 기습 침수에 대피가 어렵게 진행됐다"는 주민 진술이 이어졌으며,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는 “생존자 구조를 끝까지 포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 연방 재난 관리청(FEMA)과 국립기상청(NWS)의 조기경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점이 본격적으로 도마에 올랐다. CNN과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은 “인명 피해 최소화 실패의 구조적 요인 중 하나”로 지목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 이후 재난관리 기관의 예산 삭감과 인원 감축이 대응력 상실로 이어졌다는 분석을 내놨다. 사만다 몬타노 매사추세츠해양아카데미 교수는 “재난관리청(FEMA)의 역량 약화가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국립기상청 역시 수년 사이 600명대 인력 감축으로 경계 시스템 유지에 한계가 있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대해 미 백악관은 “이번 사태를 ‘신의 행위’로 본다”고 밝혔으나, 미국 사회에서는 오히려 정부와 정책 책임론이 부각되는 분위기다. 시민사회와 전문가들은 “기후위기 시대에 예측·대응 시스템을 보강해야 할 시점에 정책 후퇴가 참사를 불렀다”고 비판하고 있다.
텍사스 등 미국 내에서는 대규모 폭우, 허리케인 등 유사 재난의 반복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개선이 미흡해 ‘기후변화와 인재가 결합한 신유형 재난’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피해 지역 구조활동과 더불어 연방정부 대응 체계를 둘러싼 쟁점도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여름철 기후변화가 예측불허로 변하는 현실에 맞는 제도 개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참사를 계기로 미국 행정 당국과 정치권이 제도적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지 주목된다. 경찰과 구조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책임 소재에 대한 후속 조사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