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사업 재정비 효과”…일동제약, 영업이익 87% 증가 전환

이도윤 기자
입력

일동제약이 올해 3분기 외형 축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수익성 개선을 실현했다. 6일 공시된 잠정 실적에 따르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67억60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6%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214억8900만원으로 흑자 전환됐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454억5600만원으로 6.7% 감소해, 전년 동기 실적과 대비된 흐름을 보였다.  

이번 실적 개선의 주요 요인은 고정비 절감과 비용 구조 효율화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일동제약은 올해 사업 구조 재정비를 단행하며 주요 지출 항목을 줄였다. 회사 관계자는 “사업 재정비에 따른 고정비 감소, 비용 지출 구조 효율화가 영업이익 성장의 배경”이라고 밝혔다.  

다만 매출 감소는 지난해 말 바이엘사와의 코프로모션 계약 종료와 컨슈머헬스케어 사업 일부의 내부 이전 영향이 반영된 결과다. 이렇게 매출 기저가 바뀌면서 단기적으로 외형은 줄었지만, 수익성 있는 사업 구조로의 전환 효과가 본격적으로 드러났다는 평이다.  

순이익 증대는 외부 투자 수익과 계열사 지배구조 재편에 따른 기타 수익이 견인했다. 이는 단순한 영업 실적 개선을 넘어, 재무구조 안정화에 도움이 된 것으로 시장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경쟁 제약사들과 비교해 일동제약은 강도 높은 비용 효율화 전략을 선택하면서, 영업환경 변화 및 규제 압력 속에서도 재무 건전성을 우선 확보하는 태세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대형 제약사들도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비용 구조 조정에 무게를 두는 흐름이 뚜렷하다.  

실제 국내외 제약 업계에서는 코프로모션 종료 등 매출 지속성 확보 과제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동제약의 이번 실적 반등이 일회성 효과에 그칠지, 구조적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내년에도 비용 효율화와 핵심사업 집중 전략의 지속 여부가 관건이 될 것”이라며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필요성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일동제약의 수익성 개선 기조가 실질적인 성장 기반 강화로 이어질지, 시장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일동제약#영업이익#코프로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