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노화 촉진, 사회 전반의 불평등서 기인”…한국, 유럽보다 생물학적 노화 빨라
IT/바이오

“노화 촉진, 사회 전반의 불평등서 기인”…한국, 유럽보다 생물학적 노화 빨라

신도현 기자
입력

최근 국제 공동 연구에서 사회적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 대기오염이 인간의 생물학적 노화를 앞당기는 주요한 환경 요인으로 밝혀졌다. 더블린 트리니티대 국제뇌건강연구소(GBHI) 등 연구진이 40개국 16만여 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행한 이번 대규모 조사는 '글로벌 노출체(Exposome)' 분석을 통해 다양한 사회·정치·환경 요인이 건강한 노화에 어떤 파급을 미치는지 규명했다. 산업계 및 정책 분야에선 이번 결과를 사회구조적 불평등 해소와 건강정책 개혁의 분기점으로 해석하고 있다.

 

연구진은 개인의 실제 나이뿐 아니라 인지능력, 교육, 신체기능, 심혈관 위험 등을 종합해 건강상태 기반의 예상연령과 실제 나이의 차이, 즉 생체·행동 연령 격차(BBAG·Biological and Behavioral Age Gap) 지표를 도입했다. 격차가 클수록 조직·뇌·신체 기능이 빠르게 노화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 지표를 통합한 분석 결과,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인도, 이스라엘 등 아시아 4개국은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보다는 노화 속도가 늦었으나, 유럽에 비해서는 노화가 더 빠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사회·정치·환경 요인별 영향을 구분해 보면, 대기질 악화 등 물리적 환경, 경제적·성별 불평등과 같은 사회구조, 불공정 선거나 정치 참가 제한 등 정치적 불안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특정 국가의 노화 속도를 앞당기는 효과가 관찰됐다. 이 연구에서 노화는 단순히 생물학적 현상만이 아닌 뇌와 신체의 전반적 건강, 나아가 인지기능 저하와 일상생활 능력 상실 위험에 직접 연관된다는 점이 강조됐다.  

 

글로벌 비교 결과, 유럽 국가들은 높은 정치 안정과 낮은 사회적 불평등, 양호한 대기질로 인해 BBAG가 가장 낮았던 반면, 사회·정치적 요인에 취약한 국가일수록 노화가 두드러지는 경향이 확인됐다. 이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는 전통적으로 개인 책임으로만 여겨온 노화 관리 관점을 확장시켰다”며 “사회적 불평등, 환경정책, 정치시스템 등 거시적 요인이 개인의 뇌 건강·신체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실증했다”고 평가했다.

 

연구팀은 정책적·산업적 해법 모색도 주문했다. 대기오염 감축, 사회경제적 평등 증진, 민주적 거버넌스 강화 등이 국가별 노화 격차 완화에 필요하며, 단순 의료기술 혁신만으로는 고령화 사회의 건강 불평등 해소에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보건분야 빅데이터와 AI 기반 환경·정책 분석 등 융합 솔루션 개발 움직임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 공공정책, 바이오헬스 기업·기관에선 향후 뇌 건강 정책, 정밀의료, 환경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체·행동 연령 분석을 접목하는 시도가 활발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사회·정치·환경 요인을 아우르는 통합적 건강 접근 없이, 생물학에만 치우친 접근론으로는 장기적으로 국가간 건강격차와 산업 불균형이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결국 기술과 제도, 환경이 조화를 이뤄야만 고령화 사회의 질적 발전이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에서 제시된 분석 프레임과 지표가 실제 건강 정책 및 혁신 기술 현장에 제대로 안착할지에 주목하고 있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더블린트리니티대#노화#글로벌노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