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유엔 참전용사에 경의”…故 프레드 맥기 태극무공훈장 추서, 한미동맹 상징 부각
정치

“유엔 참전용사에 경의”…故 프레드 맥기 태극무공훈장 추서, 한미동맹 상징 부각

김소연 기자
입력

유엔군 참전의 날을 맞아 국가보훈부와 19개 유엔 참전국이 다시 한자리에 모인다. 참전용사와 유가족이 직접 한국을 찾아 전쟁의 기억과 희생의 의미를 되새긴 행사에서, 대한민국 정부는 고(故) 프레드 맥기 미국 참전용사에게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한다고 밝혀 주목된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맺어진 국제 우정과 한미동맹의 의미가 재조명된 순간이다.

 

국가보훈부는 오는 24일부터 29일까지 참전용사 6명, 유가족 21명, 정부 포상자 2명, 15개 유엔 참전국 재향군인회 회장 26명 등 56명을 공식 초청해 서울에서 '다시 찾은 한국, 다시 보는 한국' 행사를 연다고 23일 전했다. 최고령 참전용사 해럴드 심락(97) 등 6명이 직접 방문하며, 전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는 클리포드 피어슨(92)도 눈길을 끈다. 심락 용사는 1951년 미 육군 상병으로 칠곡 328고지 전투에 참전했고, 피어슨 용사는 영국 육군 왕립 전기기계공병대 소속으로 군용차량 회수 임무를 수행했다.

특히 유족 참석자 중에는 프레드 맥기 용사의 딸 빅토리아 F. 시크레스트가 포함됐다. 맥기 용사는 1952년 미 육군 상병으로 참전해 분대 기관총수가 쓰러지자 기관총을 이어받아 치열한 교전을 치렀고, 미국 정부로부터 명예훈장과 은성훈장을 받은 바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희생과 공훈을 기려 최고 등급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추서하기로 했다. 국가보훈부 관계자는 “한미동맹의 상징적 의미가 더욱 각인되는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28일에는 국가보훈부 장관 주재 감사 만찬이 마련된다. 참전용사 6명에게 평화의 사도 메달과 첨단 3D 프린팅 맞춤형 안경이 증정되며, 유족 15명을 위해서는 고인의 모습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한 영상도 상영된다. 이와 함께 6·25전쟁 당시 미군 장병을 숨겨주고 복귀를 도운 임창수 옹(94)에게도 감사패가 전달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국가보훈 정책이 단순 추모를 넘어 국제 연대와 한미 관계의 현주소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정부와 국민은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투혼을 발휘했던 영웅들의 희생과 공헌을 영원히 기억하고 보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행사를 통해 참전국과의 신뢰를 지속적으로 다지고 미래 협력 기반을 넓힐 방침이다. 국가보훈부는 내년에도 유엔군 참전용사에 대한 예우와 관련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보훈부#프레드맥기#유엔참전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