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농약통 안전검사 논란”…식약처, 백종원 검사 주장은 사실무근
IT/바이오

“농약통 안전검사 논란”…식약처, 백종원 검사 주장은 사실무근

김서준 기자
입력

농약 분무기 안전 검증을 둘러싼 논란이 외식 및 식품첨단산업 전반에 파장을 주고 있다. 최근 지역 축제에서 식품용이 아닌 농약통(분무기)에 사과주스를 담아 고기 위에 살포하는 시도가 실현됐고, 이에 대해 더본코리아의 백종원 대표는 “식약처가 엄중히 조사했다”는 식품안전 강조 메시지를 내놨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검사 의뢰는 물론, 농약통 분무기의 안전성 검사결과도 발급한 적이 없다”며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4일 식약처 관계자는 “내부 관계 부서 전수조사 결과, 해당 건 관련 민원·검사 의뢰가 없었으며 성분표 등 인증자료를 발급한 적도 없다”고 명확히 밝혔다.

 

애초 더본코리아 측은 지난 지역축제와 관련해 “바비큐 장비 용출검사를 냈고 식품 안전관리 강화를 요청받았다”고 주장했다. 해당 축제에서 농약통 분무기를 사과주스 분사 용도로 사용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식품위생법 위반, 공산품 사용 불법성 논란이 확산됐다. 영상에서 백종원 대표도 검사 성분표 수령, 식약처 조사 등을 직언했지만, 정부 당국은 시료 접수조차 없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일선 식품기기 산업에서는 식품 접촉 가능 소재의 인증 절차, 식약처 주관 안전기준 통과 여부가 시장 진입의 핵심 기준이다. 특히 분무기 등 전환 제품은 소재 용출, 화학 반응 등 복합 기술 검증을 거쳐 ‘식품용’ 적합성 평가가 필수로 요구된다. 글로벌 시장의 경우 미국 FDA, 유럽 EMEA 등도 공산품 → 식품기구 전환시 별도 인증·위해평가 절차를 두고 있다. “식품 안전 인프라 자체에 혼선이 야기되면 산업 전체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경찰은 더본코리아와 백종원 대표를 대상으로 식품위생법, 표시광고법 등 14건의 위반 혐의 수사를 다수 관할서에서 분담해 진행 중이다. 식품안전 분야 관계자는 “분무기 등 신기술 적용이 활발해질수록 인증·검사 투명성이 산업 생태계 지속 발전의 핵심 요건”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논란이 추후 안전기준, 제도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백종원#식약처#더본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