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앞두고 조현 장관 급거 방미”…협의 이견·돌발 변수 가능성
한미 정상회담 준비를 둘러싼 외교 현안에서 조현 외교부 장관과 미국 국무장관이 맞붙었다. 한일 및 한미 주요 외교 일정이 교차하는 가운데, 조현 장관의 갑작스러운 미국행은 외교 현안에서 예상치 못한 충돌 가능성을 시사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21일 “이번 정상 방미가 양국 신정부 출범 후 첫 번째 정상회담이라는 의미와 무게감을 감안해, 보다 면밀하고 철저한 준비를 위해 장관이 먼저 미국에 방문해 미측과 현장에서 최종 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현 장관은 21일 워싱턴행 비행기에 올랐다. 당초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3일 일본 도쿄에서 한일 정상회담에 참석할 예정이었고, 조 장관 역시 수행할 것으로 관측됐으나, 예상을 깨고 미국으로 직행했다. 그는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등 미 행정부 주요 인사와의 회담 조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의 방미 결정은 직접 출국 직전 통보될 만큼 급박하게 이뤄졌다. 실제로 외교부 내 북미국장을 비롯한 소수 인력만이 동행한 것으로 전해진다.

외교부 장관이 대통령의 해외 순방에 공식 수행원으로 참여하는 것이 통상적이지만, 이번에는 예외적 선택이 이뤄졌다. 한미 정상회담은 25일 워싱턴에서 개최된다. 외교가 안팎에서는 “한미 정상회담 결과물의 형식과 내용, 동맹 현대화와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관세 협상, 원자력협정 개정 등 각종 의제에서 양국 간 이견이 극적으로 불거진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한미 간 협의가 실무선에서 봉합되기 어려운 사안에 부딪혔다는 해석에서부터, 미국이 중국 견제 수위를 한층 끌어올릴 것을 요구했고, 이에 한국 측이 난감한 입장에 처했다는 진단까지 나온다. 또 다른 외교 소식통은 “특별히 큰 문제라기보다 더 꼼꼼하게 준비하려는 의도”라고 선을 그었다.
정치권에서는 조현 장관의 이례적 방미를 놓고 각종 해석이 분분하다. 동맹국 간 의제 조율 과정에서의 의견 차이는 늘 있을 수 있지만, 정상회담 일정이나 절차상 돌발 변수가 생긴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통령실과 외교부의 전략적 공조와 조기 문제 해결 의지를 엿볼 수 있다”면서도, “자칫 회담 당일 돌발 변수로 정국이 흔들릴 수 있는 만큼 치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에서의 한일 정상회담을 마친 직후 곧장 워싱턴으로 이동하는 데다, 한미 간 핵심 의제에 전략무기, 경제통상, 대중 견제 등 복잡한 현안이 걸쳐 있는 만큼, 조 장관의 방미가 가져올 국면 전환에 외교가의 관심이 쏠린다. 한미 정상회담은 오는 25일로 예정돼 있으며, 외교부는 “필요시 추가 실무 접촉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