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유예 종료 D-4”…여한구, 미 워싱턴서 ‘추가 유예’ 협상 총력
상호관세 유예 종료를 사흘 앞두고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여한구가 미국 워싱턴DC로 급파돼 한미 양국의 통상 현안을 놓고 치열한 담판에 돌입했다. 미국이 오는 8일로 예고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임박하면서 양국 간 추가 유예 또는 관세 인상 논란이 한국 정치권과 산업계에 파장을 던지고 있다.
여한구 본부장은 4일 밤 인천공항을 통해 미국 현지로 출국했다. 이번 방미는 지난달 말에 이은 두 번째 고위급 직접 협상으로, 주말 중 미국 무역대표부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 정부 고위 인사들과 연쇄 면담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협상을 통해 상호관세 부과의 추가 유예와 실질적 합의 가능성을 타진한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은 8일 이후 10% 기본 관세를 25%까지 올릴 수 있다는 강경 입장을 밝힌 상태다. 이미 자동차, 철강 등 일부 품목에 해당 관세가 적용 중이고, 추가 유예가 없을 경우 우리 주력 수출품 전반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영국과 베트남 등 일부 국가와 기본적 무역 합의를 이끌어내며 남은 국가에는 ‘관세 강화’ 압박을 지속해왔다. 한국의 경우 정권 교체를 포함한 리더십 공백 등으로 대미 협상 진전이 지체됐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출석한 여 본부장은 “주요 이슈별 우리 측 제안과 산업 협력 방안을 미측에 제시할 계획이며, 상호관세 유예 연장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농산물, 자동차, 서비스 등에서 시장 접근과 높은 수준의 규범을 요구하지만, 국내 민감 분야와 제도 선진화 이슈에 대해선 정부 입장을 최대한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디지털·공급망 등 신산업 분야, 미국 내 투자 확대, 에너지 구매 확대 등 미측 요구에 대해서도 “국내 민간 보호와 산업계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정치권 내에선 이번 협상이 난항을 겪을 경우, 관세 인상에 따른 산업계 충격과 대미 무역 관계 악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기 둔화와 공급망 불안 등 대외 환경이 악화된 가운데, 여야 모두 조속한 타결을 통한 민간 피해 최소화와 외교적 해법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및 품목관세 면제를 관철하되 경쟁국에 비해 불리하지 않도록 협의에 임하겠다”며 “대미 투자와 에너지, 산업 협력 등 분야별 전략을 단계적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치권은 오는 8일까지 추가 협상 결과를 주시하며, 일괄 인상 시 후속 대안 마련에도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