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소통 강화”…이재명 대통령, 대통령실 인사·조직 개편 단행
정치권이 대통령실 인사 개편을 두고 격렬한 해석 경쟁에 돌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대통령실 인사와 조직개편을 단행하며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을 부속실장으로 이동시켰다. 동시에 공동 대변인 체제로 전환하는 등 대국민 소통과 국회 협력 강화를 위한 방안이 발표됐다. 일각에선 김 비서관의 국정감사 출석을 둘러싼 논란과 맞물려 정치적 파장이 이어졌다.
이날 대통령실에 따르면 새 총무비서관에는 윤기천 제2부속실장이 내정됐으며, 제2부속실장은 당분간 공석으로 남을 전망이다. 김남준 부속실장이 대변인으로 발탁돼 기존 강유정 대변인과 공동 대변인 체제를 이루게 됐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서면 브리핑에서 “대변인을 추가해 대국민 소통을 늘리기로 한 것”이라며 조직개편의 의미를 부각했다.

김현지 비서관의 보직 이동을 둘러싸고는 정치권에서 다양한 해석이 쏟아졌다. 일부에서는 이를 국회 국정감사 출석 회피성 인사로 지적했으나, 김 비서관은 "국회에서 합의가 이뤄질 경우 출석하겠다"고 주위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 역시 "(이번 인사는) 국정감사와는 무관하다"며 "보직과 관계없이 규정대로, 국회가 결정하면 나간다는 게 김 비서관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조직개편을 통해 기존 홍보소통수석 산하 디지털소통비서관을 비서실장 직속으로 바꾸고, 정책홍보비서관실과 국정홍보비서관실을 통합하는 등 내실을 기하는 변화도 시도했다. 정무수석 산하에 신설된 정무기획비서관은 국회 및 정당과의 소통·협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비서실장 직속 국정기획자문단 운영도 결정됐다.
한편, 지난 9일 신설된 인사수석비서관 산하에 인사비서관과 균형인사제도비서관을 두는 후속 조치가 병행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실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면 언제든 추가 조직개편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당분간 계획이 있지는 않다”며 추가 개편에는 선을 그었다.
이번 개편으로 정치권의 시선은 국회와 청와대의 소통 강화, 인적 쇄신 효과에 집중되고 있다. 국회는 후속 인선과 조직개편 효과에 대한 검증과정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