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부 시스템 647개 중 39개만 복구”…행정정보 화재 후 민원 불편 지속

신유리 기자
입력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멈췄던 정부의 행정정보시스템 647개 중 39개만이 28일 밤 12시 기준 복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600여 개 서비스는 순차적으로 재가동 중이나, 전산실 전소로 손상된 96개 주요 시스템은 대구센터로의 이전·복구에만 약 2주가 걸릴 전망이다.

 

29일 행정안전부는 공식 SNS 및 보도자료를 통해 “소방청 119 다매체 신고시스템, 전자문서 진본확인시스템 등 9건이 추가 복구되면서 화재로 중단됐던 647개 서비스 중 39개 서비스가 복구됐다”고 발표했다. 이어 “복구 작업은 국민 안전과 경제활동에 직결되는 중요 시스템부터 우선 복구 중”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 SNS
행안부 SNS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이 전소됐고, 즉각 재가동이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들 시스템은 곧바로 대구센터로 이전해 신속 복구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국민들에게 거듭 사과의 뜻을 전했다.

 

화재 이후 정부는 관련 위기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해 왔다. 단기간 내 모든 시스템 완전 복구는 어렵고, 전체 정상화까지는 추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당국은 내다봤다.

 

이번 화재는 전산실 배터리 교체를 위한 전원 차단 작업 도중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7일 오전 화재가 초진됐지만, 정부 전산망 다수가 마비돼 행정민원·전자문서 등 여러 분야에서 시민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정보시스템 마비 여파로 민원 처리, 각종 공공 서비스에 차질이 예상되며, 일선 현장과 시민사회에서도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중대본은 이날 회의 뒤 96개 시스템 이전 예정지인 국정자원 대구센터 현장을 점검할 계획이다. 정부는 복구가 완료되는 대로 관련 내용을 신속히 안내하겠다고 거듭 밝혔다.

 

이번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사태는 전산 인프라 관리, 백업·이중화 체계 등 국가 IT안전망의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경위와 추가 피해 여부를 조사 중이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행정안전부#국가정보자원관리원#행정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