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6명 사망·7명 실종”…폭우·산사태에 시설피해 4천건 넘어
경남 산청 지역에 닷새간 이어진 기록적 폭우와 잇따른 산사태로 전국 인명·시설 피해가 집중되고 있다.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전국적으로 10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된 가운데, 산청군에서는 6명 사망과 7명 실종 등 전체 피해의 절반 이상이 발생하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소방청은 20일 오전 5시 기준, 경남 산청군 단성면 등지에서 수색·구조작업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구조된 인원은 58명, 중상자는 2명으로 집계됐다. 산청군내 수색·복구 작업이 이어지고 있어 인명 피해 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시설 피해 역시 심각하다. 도로 침수, 토사 유실, 하천시설 붕괴 등 공공시설 피해가 1,920건, 주택 및 농경지 침수 등 사유시설 피해도 2,234건에 달한다. 전국 14개 시·도에서 9,504세대, 총 12,921명이 대피했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산청군 시천면에는 닷새간 누적 강수량이 793.5밀리미터에 달했고, 인근 합천·하동·창녕 등도 모두 600밀리미터 이상 비가 쏟아졌다. 집중호우로 인한 추가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상청은 “수도권, 강원 내륙·산지에도 강한 비가 추가로 예보돼 있다”며 “무더위와 열대야까지 겹칠 수 있어 주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연이은 폭우와 산사태에 전국적인 복구와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산청군 등지에서는 군·지자체, 소방당국 등이 대대적인 복구와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시민단체와 지역사회는 반복되는 기상이변에 대한 구조적 대응과 예방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으며, 실종자 가족과 이재민에 대한 심리·생활 지원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한편, 산청 등 집중호우 피해 지역의 복구 작업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당국은 추가 피해 방지에 총력을 다하는 한편, 이번 기록적 폭우 사태의 원인과 제도적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