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광복회 예산 38% 삭감 논란”…강원도·광복회, 지원금 형평성 두고 정면 충돌
정치

“광복회 예산 38% 삭감 논란”…강원도·광복회, 지원금 형평성 두고 정면 충돌

강예은 기자
입력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념 행사 분위기가 고조된 가운데, 강원특별자치도가 보훈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광복회 강원도지부의 예산만 대폭 삭감해 논란이 일고 있다. 도와 광복회 도지부는 올해 예산 삭감을 두고 지난해 ‘건국 발언’ 파행의 후폭풍인지, 아니면 사업 중복성 및 형평성에 기초한 결정인지 정면으로 맞섰다.

 

15일 강원도와 광복회 도지부에 따르면, 강원특별자치도가 올해 광복회 도지부에 책정한 사업 및 사업비는 총 4건에 3천140만원으로, 2023년과 2024년 각각 6건에 5천40만원을 지원한 것과 비교해 2건, 1천900만원(37.7%)이 삭감됐다. 가장 크게 줄어든 사업은 ‘태극기 나눔행사 사업’(600만원)과 ‘만화를 활용한 나라사랑 정신계승 사업’(1천300만원) 예산이다. 이에 따라 광복회 도지부는 80주년 기념행사를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해 지난달 1일부터 이날까지 5천만원 모금을 목표로 자체 모금 운동에 나섰다.

실제 강원특별자치도가 올해 지원금을 줄인 15개 보훈단체 가운데 광복회가 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단체에 예년 수준의 예산이 할당됐고, 일부 단체는 최근 3년 사이금 지원 예산이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광복회 도지부 일각에서는 “작년 광복절 기념식 파행을 빚은 ‘건국 발언’ 논란이 예산 삭감으로 이어진 것 아니냐”는 의문이 확산되고 있다. 당시 김 지사는 행사장에서 “1919년 건국 주장은 일제강점기 존재 자체를 부정한다”며, “나라가 이미 있다면 독립운동은 필요 없었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에 김문덕 광복회 도지부장은 항의와 함께 퇴장했고, 행사 현장은 파행으로 막을 내렸다.

 

그러나 강원도는 기존 예산은 물론, 별도 운영비 지원 실적을 강조하며 “광복회 태극기 나눔행사는 중복 사업 성격이 짙고, 회원 수가 적은 광복회에 그간 과도하게 예산이 집중됐다”며, “다른 단체의 지원금과 형평성을 맞추는 과정”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타 단체 예산 증액도 노후 장비 교체 등 불가피한 경우로 일시적 지원”이라고 덧붙였다. 도는 또 “지난해 개관한 강원광복기념관 운영비 명목으로 올해만 7천240만원을 광복회 도지부에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광복회 도지부는 “기념관 첫해 운영비로 1억500만원이 편성됐으나, 올해는 오히려 3천만원 이상이 줄었다”며 “80주년 행사를 제대로 치르기 위한 추경 예산을 따로 요청했으나 반영되지 않아 모금에 의존하게 됐다”고 반발했다.

 

예산 삭감을 둘러싼 양측의 충돌은 향후 광복 80주년 경축사업 진행은 물론, 지방 보훈정책 전반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강원도와 광복회 도지부의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는 가운데, 도는 향후 추가 예산 편성 여부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복회#강원도#지원예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