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광복 80년에도 친일 잔재 미청산”…여론조사서 국민 70% ‘청산 필요’ 응답
정치

“광복 80년에도 친일 잔재 미청산”…여론조사서 국민 70% ‘청산 필요’ 응답

김서준 기자
입력

광복 80주년을 맞아 ‘해방 이후 친일 잔재가 청산되지 않았다’는 인식이 여전히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다. 광복회가 8월 1일부터 7일까지 코리아데이터월드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70.9%와 독립유공자 후손의 78%가 ‘친일 잔재 청산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일반 국민 1천명, 독립유공자 후손 85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세부 항목별로 살펴보면, ‘반민족 행위자 후손이 여전히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항목에도 국민 63.6%, 독립유공자 후손 70.2%가 동의했다. 더욱이 ‘지금이라도 친일 잔재를 청산할 필요가 있다’는 질문에는 일반 국민 71.8%, 독립유공자 후손 83.1%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이에 따라 친일 문제를 둘러싼 미해결 과제는 현재진행형 과제로 남아 있음을 시사했다.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국민 30.5%가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반성’을 첫손에 꼽았다. 이어 ‘역사 왜곡 방지 위한 공동 역사연구 및 교육협력’이 17.1%, ‘정치적 이용이 아닌 일관된 외교원칙 유지’가 11.5%로 나타났다. 독립유공자 후손 역시 ‘과거사 청산’에 방점을 두고 있는 셈이다.

 

정치권에서도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격론이 예상된다. 여당 일부에서는 한일협력 확대와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을 강조하고 있으나, 보수·진보 진영을 막론하고 친일 청산 문제에 대해선 보다 근본적 접근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한일관계 현안이 매번 국내 정치 변수로 작용해 온 만큼, 여론의 압박도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광복회는 “친일 잔재 청산 문제는 현대사와 미래 세대 통합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정당별로도 향후 입법, 정책과정에서 여론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국회는 광복 80주년을 계기로 친일 잔재 청산, 한일관계 개선 등 역사 현안을 두고 공론화와 실질적 진전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광복회#친일잔재#여론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