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버터형은 켜두고, 정속형은 껐다 켜고”…에어컨 전기요금 관리의 새 공식
요즘 집집마다 에어컨 리모컨을 손에서 놓지 않는다. 과거엔 사치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여름 무더위 앞에 필수품이 됐다. 하지만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아드는 순간, 또 한 번 망설임이 찾아온다.
여름이면 자연스럽게 늘어나는 전력 사용량이 체감된다. 실제로 최근 업계 집계에 따르면 4인 가구의 주택용 전기 사용량은 봄보다 61% 이상 늘고, 그만큼 전기요금도 64%쯤 더 나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그래서일까,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에어컨 전기료 아끼는 방법’을 묻고 공유하는 글이 쏟아진다.

여기서 중요한 건, 내가 사용하는 에어컨이 어떤 ‘방식’이냐는 점이다. 2011년 이전 출시된 구형 제품들은 대부분 정속형, 이후에는 인버터형이 대세다. 전문가들은 “정속형은 희망 온도에 도달하면 껐다 켰다 반복하는 게 유리하고, 인버터형은 처음 시원하게 닿으면 계속 켜두는 방식이 효율적”이라고 조언한다. 이외에도 90분 이상 자리를 비울 땐 인버터 에어컨이라 하더라도 반드시 끄는 것이 절약에 효과적이라는 실험 자료도 있다.
실제로 기자가 주변의 에어컨 사용자들에게 듣자, “과감히 인버터형은 밤새 켜두고 잔다, 그래도 고지서가 덜 나온다” “정속형은 무조건 끄고 나가야 전기가 아낀다”는 경험담이 많았다. “에어컨은 얼른 시원해지면 곧 꺼야 한다고 배웠는데, 기종에 따라 정답이 달라진다는 게 신기하다”는 반응도 있었다.
에어컨 전기요금 절감법은 더 있다. 선풍기를 같이 틀거나 필터와 실외기를 정기적으로 청소하면 훨씬 시원해진다. 바람은 아래로 깔리는 특성을 살려 위쪽으로 보내야 냉기가 집안에 흩어진다. 날씨가 후텁지근해도 제습 모드보다 냉방 모드가 습기 제거에 더 강하다는 것도 많은 이들이 체감한 사실이다. 실외기에는 차광막을 씌우거나 물을 뿌려주는 사소한 시도가 고지서의 숫자를 바꾼다는 깨달음도 따라온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무더위를 이기는 법도, 요령만 알면 충분히 ‘나답게’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