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금융 리스크 경고”…이형일, 국제 공조 강조·체계 보완 주문
금융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시스템 리스크 우려가 9월 3일 서울에서 열린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서 공식적으로 제기되며, 글로벌 공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논의가 비은행금융기관(NBFI) 확대, 공공부채 누적 등 거시경제 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국제 정책 협력의 신호탄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추가 제도 정비와 국제적 연대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공동 개최한 행사에서 이형일 1차관은 "금융의 디지털 기술 발전이 예상치 못한 시스템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며 인공지능(AI), 스테이블코인 등 신기술의 양면성을 강조했다. 이 차관은 비은행금융기관의 투자전략 다변화와 경기·시장 변동에 대한 민감성을 언급하며, 위기 시 변동성과 유동성 경색 유발 위험성을 지적했다. 기존 은행 중심의 금융안정 체제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제도 보완 필요성도 제시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개발도상국의 부채 취약성 심화, 글로벌 공공부채 누적 문제도 도전요인으로 꼽혔다. 이 차관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무역 긴장으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규칙 기반 자유무역 체제 역시 구조적 개편 압력에 직면했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서는 비은행권 금융리스크 감시 강화, 국제 기준 정립 등 후속 조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전환이 금융 생태계의 혁신을 이끌지만 관리·감독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위기가 확대될 수 있다”며, 국제적 정책 연계가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향후 ‘G20 국제금융체제 워킹그룹’ 공동의장국 역할을 적극 활용해 국제 공조 논의에 참여할 계획이다. 디지털 전환, 부채 누적 등 시스템 리스크 대응을 위한 중장기 제도 보완 로드맵이 주요 논의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향후 정책 방향은 주요 국제 거버넌스 논의 및 국내외 금융시장 환경 변화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