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스마트폰이 배변시간 늘린다”…화장실 습관, 치질 위험 46% ↑
IT/바이오

“스마트폰이 배변시간 늘린다”…화장실 습관, 치질 위험 46% ↑

한채린 기자
입력

스마트폰 사용이 화장실 내 생활 습관을 바꾸며 치질 위험을 크게 높이고 있다. 미국 보스턴 베스 이스라엘 디코니스 메디컬 센터 연구진이 성인 대장내시경 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화장실 습관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행위가 치질 위험을 46%까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지 PLOS One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참가자의 66%가 화장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며, 특히 5분 이상 머무는 비율이 37%에 달했다. 반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참여자 중 5분 이상 체류하는 경우는 7.1%에 그쳤다.

 

연구진은 스마트폰 사용 습관이 배변 시간을 무의식적으로 늘려 항문과 직장 부위 혈관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는 점을 지목했다. 이로 인해 치질(내치핵·외치핵) 등 항문 혈관이 붓거나 터지는 증상 위험이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실제 연구를 주도한 트리샤 파스리차 박사는 “배변에 필요한 시간은 몇 분 이내가 적정하며, 불필요하게 오래 머무르는 행위가 치질 유발과 연관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장시간 체류가 단순 생리 현상이 아닌 주의력 분산에서 비롯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기존에 치질 발병과 관련 있어 보였던 ‘힘 주기’ 행동이 유의미하게 연관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보다 의자에 오래 앉는 생활 습관, 집중의 분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의료진은 배변 시간 제한 전략의 효과를 추가 추적 연구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치질은 대표적 항문 질환으로 통증, 가려움, 출혈 등을 유발한다. 연구팀은 치질의 다른 위험 인자로 변비, 무거운 물건 들기, 임신, 유전, 비만, 노화에 따른 혈관 약화도 함께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치질 예방을 위해 배변 시간을 10~15분 이내로 제한하고, 스마트폰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 사용을 줄일 것을 강력 권장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디지털콘텐츠 소비가 의료 행동과 질환 발생 패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가 IT·바이오 융합 환경에서 디지털 라이프스타일과 건강 리스크의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보고 있다. 결국 기술과 습관, 질환 간의 연관성을 파악해 건강 관리 지침이 보다 정밀하게 업그레이드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트리샤파스리차#스마트폰#치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