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결위원 총사퇴 파장”…광주시의회 후임 위원 보임, 징계 수위 관건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원) 전원 총사퇴 사태를 둘러싼 광주시의회와 더불어민주당이 다시 맞붙었다. 예결위원장을 둘러싼 갈등의 여파가 정가 전체로 번지는 분위기다. 민주당 소속 의원 10명이 윤리심판원 징계 위기에 놓였으며, 후임 위원은 축소된 정원으로 보임을 마쳤다. 의회와 당의 대응에 지역정가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14일 광주시의회는 제335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4기 예결위원 9명의 사임 안건을 처리한 뒤, 정원을 8명으로 줄여 안평환, 박희율, 이명노, 서영규, 박필순, 심철의, 조석호, 홍기월 의원을 새로 보임했다. 예결위원들은 본회의 직후 회의에서 조석호 의원을 위원장, 이명노 의원을 부위원장으로 각각 선임하며 예결위 구성을 마쳤다. 앞으로 시의회는 추가경정예산안과 내년 예산안 등에 대한 심의를 이어갈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시의회를 둘러싼 긴장감은 여전하다. 지난해 민주당 예결위원장 내정자인 서임석 의원을 제외한 예결위 구성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은 의원 10명을 윤리심판원에 회부했다. 당시 무소속 예결위원장과 국민의힘 부위원장이 선출되면서 내부 갈등이 가시화됐고, 의원 전원 사퇴로 번졌다. 이에 따라 광주시의회는 상임위별 후임자 선임에 난항을 겪다 정원 자체를 줄이는 결정까지 내렸다.
이날 본회의 신상 발언에서 서임석 의원은 "일부 언론과 여론이 이번 예결위 사태의 원인을 본 의원이 3기 예결위원 자리를 양보하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사실을 왜곡해 보도하고 있다"고 밝히며, "4기 예결위원에 포함되지 못한 점이 저의 잘못인 것처럼 비치는 것은 부당하고 본질을 호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 의원 역시 민주당 윤리심판원에 회부돼 징계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정치권에서는 당내 윤리심판원의 징계 수위와 시의회 내 추가 파열음에 주목하고 있다. 민주당 광주시당은 "당의 질서와 선거 기강 유지를 최우선에 둘 것"이라는 입장을 반복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당내 권력구도와 의회 운영의 투명성 문제에 대한 장기적인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광주시의회는 예결위 구성과 예산 심의 정상화를 이뤘으나, 당내 징계 심의가 남아 있는 만큼 지역 정가의 파장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민주당 윤리심판원 역시 조만간 공식 입장을 내놓을 예정으로, 정치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