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ODA 정책, 통일교 청탁 반영됐나”…윤석열·김건희 특검팀 ‘유착’ 규정 파장
통일교 현안과 윤석열 정권의 유착 의혹을 두고 정치적 갈등이 격화됐다.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특혜 지원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통일교의 청탁이 대외개발원조(ODA) 정책에 그대로 반영됐다는 정황을 공소장에 담으며 정국이 격랑에 휩싸이고 있다.
2022년 3월,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의 안내로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가 당시 당선인 신분이던 윤석열 대통령을 서울 종로구 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1시간가량 접견한 사실이 1일 드러났다. 윤씨는 제5유엔사무국 설립 및 아프리카 개발 사업 등 교단 현안 해결을 위해 ODA 지원을 요청했고, 윤 대통령은 "함께 논의해 재임 중 이룰 수 있도록 하자"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만남 약 일주일 뒤, 외교부 외교안보분과가 작성한 국정과제 이행계획서에는 아프리카 ODA를 2배로 증액하는 내용이 명기됐다. 2024년 6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아프리카 ODA를 2030년까지 100억 달러로 확대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교단의 청탁 이후 정부 정책 차원의 지원 확대가 잇따랐다. 이에 특검팀은 대아프리카 외교·개발정책의 추진 경위에 특정 이해관계가 개입됐는지 집중 수사 중이다.
캄보디아 개발 사업 등 통일교 주요 현안에도 국가 예산과 지원이 크게 늘면서 정치권 파장이 일고 있다. 2022년 12월 ‘한국-캄보디아 우정의 다리’ 사업 관련 차관 지원이 승인된 이후 해당 ODA 예산은 2023년 2억원, 2024년 50억원으로 확대됐고 2025년에는 약 588억원까지 증액됐다. 또 캄보디아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지원 한도 역시 2030년까지 30억 달러로 높아졌다.
특검팀은 "통일교가 대선 국면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을 조직적으로 지원하고, 그 대가로 숙원 사업 관철을 청탁했다"는 취지의 수사 결과를 공소장에 담았다. 권성동 의원, 한학자 총재 등 교단 주요 인사들이 실제 정책 결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한 정황도 포착됐다.
고가 명품 가방 등 금품공여 경위에 대한 수사도 본격화됐다. 공소장에 따르면, 윤씨는 2021년 말 권 의원과 친분을 쌓고 교단 신도들을 동원해 대선 지원을 약속했다. 이후 한학자 총재, 배우자 등과 공모해 통일교 소유 자금을 횡령해 김건희 여사를 위한 명품 샤넬 가방, 인삼 제품, 고가 보석 목걸이 등을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치권에서는 특검팀 수사 결과를 놓고 여야가 정면 충돌하고 있다. 야권은 대형 의혹의 실체적 진실 규명을 촉구하며 "권력형 비리의 전형"이라 비판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에 국민의힘은 "과도한 정치 공세"라고 맞서며, 수사 내용의 신빙성과 실체적 연계성에 거리두기 입장을 고수했다.
이번 사안이 내년 총선을 앞둔 정국에 미칠 파장에도 관심이 쏠린다. 특혜 지원 및 정권-교단 유착 의혹은 국민 여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정치권 지형 변화 가능성도 거론된다. 정치권은 이날 청탁 의혹과 정부 ODA 정책의 실체 규명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