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정신 훼손”…천안 국회의원들,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파면 촉구
독립운동 정신을 둘러싼 논란과 정부 인사 문제로 충남 천안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과 현장 시민 사회가 정면 충돌했다.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의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정치권과 시민 단체에서 동시에 터져 나오면서, 보훈 행정과 역사 인식이 한국 정치의 고착 구조임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
더불어민주당 이정문(천안 병), 문진석(천안 갑), 이재관(천안 을) 의원 등 천안 지역 국회의원 3명은 22일 천안 독립기념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애국 독립투사들의 항일투쟁 역사를 무시하고 국민을 분열시키는 정쟁을 일삼는 김형석을 더 이상 독립기념관장의 직위에 놔둘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8월 15일, 광복 80주년 경축 기념사에 등장한 김형석의 ‘광복은 연합국 승리로 얻은 선물’이라는 망언은 독립운동 정신을 훼손하는 명백한 역사 왜곡 발언”이라며, “국민주권 정부의 국정철학을 정면으로 부인하는 언사”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이정문, 문진석, 이재관 의원 등은 “윤석열이 임명한 독립기념관장 김형석이 퇴진을 거부할 경우 그가 받을 것은 국민들께서 명령한 해고 통보서와 법과 제도에 의한 해임과 파면 처분이라는 것을 분명하게 경고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부적절한 인사 김형석의 퇴진을 통해, 뉴라이트 어용학자의 놀이터로 전락한 독립기념관을 순국선열의 희생과 독립 정신을 지키는 성지로 다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장에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충남도의원과 천안시의원, 천안 지역 당원 등 100여명이 대거 동참해, 지역 내 여론 결집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같은 날 오전, 독립운동가 후손 등으로 구성된 ‘역사독립군국민행동’ 회원 10여명도 독립기념관 현장에서 별도의 기자회견을 갖고 “김형석 관장에 대한 퇴출 통지서를 보훈부 장관에게 공식 발송했다”며, “독립기념관이 다시 국민의 품으로 돌아올 때까지 역사 왜곡과 친일 극우세력의 도발에 맞서 끝까지 싸우겠다”고 결의했다. 이 과정에서 김 관장의 출근 저지 및 농성 텐트 설치를 두고 경찰과의 몸싸움까지 벌어지면서 현장은 한때 소란에 휩싸였다.
정치권은 김형석 관장의 기념사 발언과 관련해 여야 간 입장차도 극명하다. 야당은 인사를 통한 역사 인식 교정과 공공기관 정상화를 요구하는 반면, 보수진영 일각에서는 “과도한 정치 공세”라며 반발의 기류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역사 인식 논쟁이 점차 보훈·인사 국면까지 번지면서 정국 갈등의 새로운 뇌관이 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정가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여야의 이념 대립과 지역 여론 결집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천안 지역에서는 시민단체와 지방의회, 국회의원까지 분노를 표출하며 독립기념관 운영 주체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국회와 시민단체는 거듭 “김형석 관장의 퇴진 없이는 독립기념관 정상화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며, 정부의 해임 조치와 독립기념관 내부 개혁을 촉구했다. 정치권은 해당 논란을 차기 회기에서 본격적으로 다룰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