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50% 관세”…트럼프, 무역확장법 내세워 글로벌 공급망 충격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 수입에 50%의 고율 관세를 공식 선언하면서 글로벌 금속 시장과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9일(현지시간) 기준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구리 선물 가격은 하루 만에 13% 급등해 1989년 이후 최대 일일 상승폭을 기록했고, 산업 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증폭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제조업 원가 부담은 물론, 한국 등 주요 수출국 및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의 연간 정제 구리 소비량 200만t 중 절반 이상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주 수입국은 칠레, 캐나다, 페루 등으로 파악된다.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발표된 이번 관세 정책에 따라, 미국 내 구리 구매업체들은 원자재 비용 급등과 글로벌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관세 발표 직후, 뉴욕 구리 선물에는 런던금속거래소 대비 25%의 프리미엄까지 붙으며 시장 가격 왜곡 현상도 나타났다.

업계와 투자자들은 미국 내 산업 생산비용 증대와 공급망 차질 리스크를 경계하고 있다. 뉴욕 증시에서는 구리 관련주가 단기 급등했으나, 전반적으로 관세 이슈의 사전 예고로 주요 지수는 혼조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관세 정책이 시장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8월 1일부터 시작되며, 유예나 연기는 없다”고 재확인했다. 미국 상무부 하워드 러트닉 장관 역시 “7월 말 또는 8월 초부터 구리 관세가 본격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미국 정부는 구리의 국가 안보 및 전략물자 중요성을 들어, 신속한 관세 집행 의지를 거듭 강조하고 있다.
한편,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구리 수출국과 글로벌 제조업계도 비상 대응에 나서고 있다. 업계 내에서는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지 생산 확대, 공급선 다변화 등의 대안 모색이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과거 철강·알루미늄 관세 강화 사례와 마찬가지로, 이번 조치 역시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구조적 변화를 촉발할 수 있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반도체, 의약품 등 다른 핵심 소재로의 관세 확대 우려도 부상하는 가운데, 시장과 정책 당국 모두 긴장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향후 미국과 교역국 간 구리 관세 협상이 중장기적으로 제조업·금융시장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장에서는 추가 무역긴장 조짐과 맞물려 주요국의 공급망 대응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