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정치 개입 매우 심각”…정청래, 이재명 피습사건 축소 의혹 제기
이재명 대통령 피습 사건을 둘러싸고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윤석열 정부가 정면 충돌했다. 3일 정청래 대표는 국회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시 사건이 윤석열 정부 차원에서 축소, 은폐, 왜곡됐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진상조사와 재수사를 촉구했다. 국가정보원이 사건 직후 ‘테러’ 지정 자체를 피하자는 내부 보고서를 작성한 정황이 드러나면서, 정치권의 갈등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저도 당시 현장에 있었는데, 그 끔찍했던 장면을 상상하기도 싫다”고 운을 뗐다. 이어 “몇 개월간 치밀하게 준비된 암살 시도로서 제 눈으로 똑똑히 본 테러 사건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건과 관련해 테러로 지정하지 말자는 내용을 담은 국정원 보고서가 확인됐다고 한다”며 “국가정보원의 정치 개입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정 대표는 수사 과정도 문제 삼았다. 그는 “철저하게 증거가 보존되고, 철저하게 수사해야 할 게 왠지 축소됐다는 인상을 그때도 가졌다”며 당시 경찰 대응에 의문을 제기했다. “경찰이 물청소로 증거를 인멸하고, 축소·은폐하기 바빴다는 것이 이제 입증되는 것 같다”는 점도 부각했다.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자 국회 정보위원회 민주당 간사는 전날 정보위원회 전체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김상민 당시 국정원 법률특보가 ‘테러로 지정하지 말자’는 내용의 보고서를 낸 사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의 발언은 국가정보원이 사건의 본질적 성격을 일부러 축소하려 했다는 의혹에 힘을 실었다.
국민의힘 등 여당 측은 “사건 관련 모든 절차는 당시 규정과 원칙에 따라 진행됐다”며 “근거 없는 정치공세”라고 맞섰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객관적인 진상 규명이 이뤄지지 않으면 국민적 불신이 확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사건 재조사 요구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윤석열 정권 차원에서 해당 사건을 축소, 은폐, 왜곡, 조작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는 만큼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며 “국무조정실 차원의 재조사와 관련 사법기관의 전면적인 재수사를 촉구한다”고 거듭 밝혔다.
이날 국회는 이재명 피습 사건을 둘러싸고 격한 공방을 벌였으며, 국가정보원의 개입 여부와 수사 축소 정황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향후 국무조정실과 사법기관의 대응 방향에 이목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