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넉 달 만에 구치소로”…윤석열, 직권남용 구속 심사 결과 초긴장
직권남용 등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정치적 운명의 밤’을 맞았다. 법원의 구속 취소로 자유를 얻은 지 4개월여 만에 이날(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마친 뒤 서울구치소로 이동했다. 판가름을 앞둔 사법 판단과 이를 둘러싼 정치적 긴장감이 서울구치소를 에워쌌다.
이날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직후, 윤 전 대통령은 바로 서울구치소로 옮겨졌다. 구속영장 심사 결과가 확정될 때까지 그는 피의자 대기실에서 머물게 된다. 통상 이 절차에서는 사복 차림으로 신분 확인 후 휴대전화 등 모든 소지품을 반납한 채 외부와의 연락이 차단된다. 윤 전 대통령 역시 같은 조건 하에서, 법원의 결정이 나올 때까지 격리된 상태로 초조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구속 수사 여부의 중대 분수령인 이번 영장 결과는 사법부의 밤샘 고심 아래 늦은 밤이나 다음날 새벽에야 결론이 내려질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부장판사가 심사 결과를 내린다. 만약 영장이 기각될 경우, 윤 전 대통령은 바로 구치소를 나와 사저로 향하게 되며, 반대로 영장 발부가 결정될 경우 곧장 수용 절차로 이어진다.
윤 전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사태’로 관저에 머무르다 지난 1월 15일 내란 등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체포됐다. 이후 서울서부지법이 구속을 결정하고 미결 수용자 신분이 된 바 있다. 그러나 법원의 구속 취소로 지난 3월 8일 석방돼, 52일 만에 구치소를 빠져나왔다. 이번 구속의 중대성에 관해 윤 전 대통령 측은 “법원의 판단이 부당하다”며 적극 반발, 구속 취소 절차도 거쳤으나, 다시 법정에 서게 됐다.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영장 결과는 정치권에도 중대한 파장으로 번질 전망이다. 여야 각 진영에서는 사법 판단의 정당성과 정치적 후폭풍, 수사 확대 여부 등을 두고 치열한 공방이 예고되고 있다.
정치권은 이날 구속영장 심사 결과를 촉각을 곤두세우며 지켜보고 있다. 법원의 결론 이후, 정치적 논란은 한층 더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