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최태원·김병주·김범석 등 대기업 총수 국감 증인 채택”…정무위, 계열사 부당지원·플랫폼 불공정 거래 쟁점화

전민준 기자
입력

여야가 재계와 플랫폼 기업을 둘러싼 긴장감 속에서 정면 충돌했다. 국회 정무위원회가 올해 국정감사 증인으로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한 대기업 및 IT업계 고위 경영진 41명을 출석 대상으로 의결하면서 관련 업계에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정무위는 9월 29일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2025년 국정감사 증인 및 참고인 출석 요구의 건’을 처리했다. 이날 채택된 인사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 김범석 쿠팡Inc 의장 등 주요 대기업 총수를 포함해 증인 32명, 참고인 9명 등 총 41명이다.

최태원 회장은 SK 계열사 부당 지원 실태와 관련해 직접 설명을 요구받을 전망이다. 정무위는 최근 불거진 해킹 사태와 정보보호 문제를 질의하기 위해 김영섭 KT 대표이사,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도 국감장에 불렀다. 홈플러스의 최대 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과 김광일 홈플러스 대표이사 역시 유통·사모펀드 운영 구조와 업계 현안을 두고 압박을 받게 됐다.

 

이와 함께 오경석 업비트 대표는 자금세탁 방지 의무 위반, 김범석 쿠팡Inc 의장과 김명규 쿠팡이츠서비스 대표는 온라인플랫폼 불공정 거래 관행에 대한 신문 대상에 포함됐다. 권오성 현대위아 대표, 이선정 올리브영 대표, 황성혜 구글코리아 부사장 등도 증인으로 채택됐다.

 

정치권은 정무위의 이번 결정이 국내 재벌 그룹과 신산업 플랫폼 기업을 동시에 겨냥하며, 부당 지원 및 자금세탁·사이버 보안·공정거래 등 다각도의 현안 점검과 압박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여야 의원들은 “재계 경영진들의 국감 증언을 통해 경영 관행, 소비자 권익 보호, 산업 혁신에 대한 국회의 감시·견제가 전방위로 이뤄질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업계에서는 “정치권의 잇단 증인 요구가 기업 활동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경영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필요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국회는 10월 초부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대기업 총수와 IT·플랫폼 기업 경영진을 상대로 질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업계와 정가 모두의 시선이 집중된 가운데, 증인 채택 명단이 향후 정국과 기업 정책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전민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최태원#국회정무위#국정감사